최수만 대전테크노파크 원장 |
2010년대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교육의 개념들이 획기적으로 바뀌고 있다. 창조적 인재 육성, 선도적 개척정신, 융복합을 통한 창조 교육 등 21세기 교육의 개념과 방향이 급속히 변했다. 여기에 맞춰 전 세계적으로도 AI를 기반으로 한 교육, AR,VR 기반 실감형 교육 등 에듀테크 교육 혁신도 속도를 내고 있다. 과학도시 대전도 교육 혁신을 위한 최적의 시점이 온 것이다.
정부가 지난 7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디지털 그린 융복합 분야에 '그린스마트스쿨'을 포함 시켰다. 이는 지난 7월 대전시가 한국판 뉴딜에 부응하고 새로운 혁신성장을 이룰 '대전형 뉴딜' 추진계획과 비전을 발표한 추진방향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대전시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라는 3대 방향에 맞춰 기존사업 53개를 재구성하고, 신규사업 47개를 연계 발굴하여 총 100대 과제 수행을 통해 디지털 그린·그린 뉴딜의 가장 최적화된 도시로 변화하기 위해 세부 추진 전략을 세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대전은 디지털 그린 뉴딜을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대전은 카이스트를 비롯해 충남대, 한남대 등 20 여개의 우수한 대학이 있어 충청도를 비롯해 경기, 전북, 강원 등지에서 우수한 인재들이 들어오는 통로가 되고 있다. 특히 대학 졸업 후 진출할 수 있는 연구 중심의 120여 개가 넘는 공공기관, 출연연은 R&D 분야에서는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창의적 인재 육성의 요람이 될 수 있다.
특히 대전지역은 연구개발 중심 벤처집적률이 56.8%로 전국 1위 규모로서 ICT 교육콘텐츠 개발은 물론 태양광 및 친환경 단열재 기술 등 보유하고 있는 벤처기업·출연연이 많아 '그린스마트스쿨'의 최대 효율을 끌어낼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
문제는 네트워크와 협업 부족 등 한마디로 오픈된 '연결플랫폼'의 부재로 추진동력이 떨어진다는 데 있다. 대전 벤처기업들은 수년 전부터 초·중·고 연계를 통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콘텐츠 협력으로 지역 내 창업 생태계를 구축했지만, 협력과 소통, 실행의 부재로 각자 도생을 해 왔다.
향후 '그린스마트스쿨'은 기존 교육 패러다임과 지역 산업 생태계를 바꾸는 중요한 과제로서 대전시, 교육청, 민간기업, 출연연, 기업지원기관 등 산·학·연·관이 선제적으로 대응해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디지털 그린 융복합 분야를 선점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계, 산업계, 창업, 지자체, 출연연, 지원기관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과 정보를 잇는 연결플랫폼 확장이 필요하다.
'그린스마트스쿨'은 대전의 역량과 산업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연장선으로 적극 활용해야 하며, 대전산업의 핵심가치로서 지역 초, 중, 고, 대학에 전파될 수 있도록 혁신적이고 도전적 기업가정신이 살아 숨 쉬는 '연결플랫폼'활성화를 위해 산·학·연·관이 같은 고민하고 방향을 잡아가야 할 것이다.
대전이 선도적으로 나서 포스트코로나 시대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과 AI 등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육 혁신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도시, 창업하기 좋은 도시로 인재가 모이고, 재화가 모이고, 기술혁신이 활발히 이루어져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4차산업의 핵심 도시 대전으로의 변신을 기대해 본다.
최수만 대전테크노파크 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