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꽃의 매혹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꽃의 매혹

김명주 충남대 교수

  • 승인 2020-10-19 09:57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김명주-충남대-교수
김명주 충남대 교수
어쩌다 한가롭게 카톡 프로필 사진들을 쭉 내려 보면, 누구나 한두 번쯤 꽃에 매혹된 듯, 꽃은 매우 빈번한 피사체다. 나 역시 꽃은 언제 봐도 신비롭다, 봄이면 유채꽃, 가을이면 코스모스, 꽃 군락을 이룬 곳마다 사람들이 넘쳐난다. 왜 우리는 꽃에 매혹되는 것일까? 무채색의 일상과는 너무도 다른, 꽃의 선명한 빛깔, 탐스러운 자태가 '살아있음'의 절정을 상기시키는 까닭일까. 딱히 의식하지도 못한 채, 우리는 꽃이 뿜어내는 '살아있음'의 절정을 예찬하고, 그토록 '선명한 빛깔로 살아있음'에 대한 갈망을 표현하고 있는 것일까.

그런데 꽃의 매혹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제아무리 찬란한 꽃도 시들지 않는 꽃은 없고, 찬란해서 더욱 시듦은 아쉽다. 대신 꽃이 진 자리엔 열매가 영글고, 이듬해 열매는 다른 꽃으로 부활한다. 이렇게 꽃은 꽃 자체의 찬란한 생명 절정을 찬탄케 할 뿐만 아니라, '순환하는 생명'을 시적으로 육화한다. 그래서 꽃은 '순환하는 생명'을 대표하는 은유가 되나보다.

지난 주 2020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시인 루이스 글뤽도 자주 꽃을 은유로 순환하는 존재의 차원을 열어낸다. "야생 붓꽃"을 통해 글뤽은 "뻣뻣한 흙 속에 묻힌" 죽음을 넘어 부활하는 야생 붓꽃의 생명을 찬탄한다. 글뤽은 꽃의 목소리로 말한다. "내 고통의 끝에/문이 있었어." 꽃은 이미 죽음을 경험했고, 죽음 끝에서 다른 생의 문을 발견했던 것이다. 그리고 다시금 "내 생명의 중심으로부터/거대한 분수가 솟구친다. 짙푸른 빛으로" 붓꽃은 부활한다.

순환하는 생명! 그리하여 현대인에게 꽃은 이미 까맣게 잊혀진 고대의 시간관을 환기시키는지도 모른다. 고대인들은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한다고 믿었다. 고대인에게 인간 종은 만물의 영장이 아니었을 터, 자신의 관점이 아닌 대자연의 관점에서 시간을 파악했음직하다. 어차피 의식의 여명기, 인간 자아와 자연의 구분은 지금처럼 확고하지도 않았을 테니까. 대자연은 태어나고, 죽고, 다시 태어나는 순환계다. 수명이 길어봐야 120년을 넘기 어려운 인간 생명체의 차원에서 시간은 시작해서 정녕 끝장나는 "화살"일 수밖에 없지만, 고대인이 대자연과 대우주의 시간차원에서 시간을 인식했다면, 필시 시간은 순환으로 인식되었고, 따라서 과거-현재-미래는 동일선상에 놓였을 것이다. 관점과 차원이 문제다. 인간의 관점을 벗어나면 새로운 시간 차원이 열린다. 1977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일리아 프리고진은 "시간이 거꾸로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시간의 순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단서가 붙어있기는 하다. 시간이 거꾸로 가는 것은 충분히 긴 시간에서만 가능하고, 닫힌 체계에서만 가능하다고 말한 바 있다. 인간의 생애와 역사를 넘는 대자연의 우주 시간 속에서는 시간은 가역적이라는 뜻이다.



그리하여 고대인들은 허물을 벗고 새로 태어나는 뱀을 숭배했고, 나날이 모양이 변화할 뿐만 아니라 그믐의 죽음을 너머 초생달로 부활하는 달을 신성시했고, 죽은 듯 동면한 후 새끼를 거느리고 나타나는 곰을 숭배했다. 뱀과 달과 곰이 '순환하는 대자연'을 대표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대인은 더 이상 고대인의 상징을 숭배하지 않는다. 고대를 지나 어느 시기부터 시간은 탄생에서 죽음으로 끝나는 일직선으로 날아가는 "화살"로 여겨지게 된다. 그 변환의 시기는 문자의 발명, 가부장제의 발달, 종교적으로 여신이 남신으로 교체되는 시기와 맞물린다고 한다.

현대인은 뱀-달-곰 대신, 무의식 깊숙이 각인된 고대인의 순환적 시간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에 투사하고 있는 듯하다. 그래서 우리는 꽃에 매혹되고, 꽃을 숭배하는 것이 아닐까. 꽃에 대한 매혹은 개체로 영생하려는 미이라의 뻔뻔한 탐욕과는 다르다. 꽃은 피고 지는 생명의 부침과 순환, 죽어도 다시 사는 큰 차원의 역설을 깨닫게 하는 매개인 까닭이다.

김명주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4 결산] 대전시 해묵은 현안해결 경제부흥 견인
  2. 대전시, 경제성장률 가파른 상승 "눈에 띄네"
  3.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4. "출산 회복 도움되기를"… 대덕구, 지역 최초 산모회복비 지원
  5. 즐거운 성탄절
  1. 대전시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26일부터 지급
  2. "서산 부석사 불상 친견법회, 한일 학술교류 계기로"
  3. ‘온누리에 축복을’
  4.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5. 2023년 대전·세종·충남 전문대·대학·대학원 졸업생 취업률 전년比 하락

헤드라인 뉴스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대전 내 학교 성비위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개선은커녕 공회전을 멈추지 않고 있다. 대전교육청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성 관련 예방연수 횟수는 연 1회에 그치고 연중 발표하려 했던 성 비위 근절 대책안도 내년으로 미뤄졌기 때문이다. 26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 교육시간은 연 1회 3시간뿐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교육 이수시간이 1년에 15시간인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상황이다. 올해 대전 내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 비위 사건 중 공론화된 건은 초·중·고 1..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17개 시·도 간 입장 조율 없이 제출돼 일부 지역의 반발을 사고 있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12월 26일 이와 관련한 성명을 통해 "우리 교육청은 그동안 AI 디지털 교과서의 현장 도입에 신중한 접근을 요구해왔다. 시범 운영을 거쳐 점진적으로 도입하자는 의견"이라며 "AI 디지털 교과서를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란 입장으로 서두를 건넸다. 이어 12월 24일 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지역 교육계와 협의 없이 국회에 제출된 사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12월 31일과 2025년 1월 1일 오전까지 대전은 대체로 맑은 날씨를 보여 올해 마지막 해넘이와 새해 첫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겠다. 기상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연말연시 날씨 전망을 26일 발표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1일 오전 주요 도시별 해돋이 시간은 독도 7시 26분, 부산 7시 32분, 대구 7시 36분, 제주 7시 38분, 강릉 7시 40분, 광주 7시 41분, 대전과 청주, 전주 7시 42분, 서울은 7시 47분께다. 이날 오전 충청권은 대체로 맑지만, 충남 서해안 주변 일부 지역은 구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 즐거운 성탄절 즐거운 성탄절

  •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