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욱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교수 |
사람들은 보통 "나에게 어떤 문제가 있지?"라는 질문과 함께 과거의 고민, 걱정, 슬픔, 불안, 우울, 강박과 같은 다소 부정적인 생각을 하곤 한다. 반면에 "나의 행복과 성공을 위해 어떻게 해야 만족스러운 삶을 누릴 수 있을까?"라는 질문과 함께 희망, 지혜, 창의성, 용기, 인내, 도덕성, 협동, 이타심과 같은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을 하는 경우도 많다. 기존 연구문헌들에 의하면 후자와 같은 인간의 긍정적 심리는 개인의 행복과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한다. 사람들이 갖고 있는 긍정심리는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 이라는 하위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효능감'이란 어느 특정한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확신이나 자신감을 의미하며, '희망'은 자신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면서 긍정적인 동기가 부여된 상태를 말한다. 비관주의에 반대되는 개념인 '낙관주의'는 미래에 좋은 일들이 많이 생길 것이라는 기대감을 의미하며, '회복탄력성'이란 역경과 갈등, 실패로부터 긍정적인 방향으로 회복될 수 있는 역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개인의 긍정심리는 자신에게 행복감을 가져다주면서도 개인이 속한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데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받아들이게 하고, 창의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찾게 하고, 새로운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게 함으로써 조직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소통을 위한 '공감능력'은 관계를 원만하게 함은 물론이고 갈등 및 분쟁을 조기에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공감능력'은 '나는 당신의 상황과 기분을 이해하고 있어요'처럼 다른 사람의 상황이나 기분을 같이 느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은 공감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공감을 받는 상대방까지 기분을 좋게 해주기 때문에 대인관계에서 중요한 능력이다. 개인의 공감능력은 많은 이해관계자들과의 갈등 소지를 사전에 줄여 줄 수 있고 긍정적인 관계에서 업무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행복과 조직성과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개인 및 조직 구성원들의 '긍정심리'와 '공감능력'은 네크워크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여러 가지 시사점을 준다. 첫째, 개인적 차원에서 '긍정심리'와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개인이 생활하는 가정과 학교, 직장에서 성실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직무를 수행할 때 자신감과 스스로에 대한 믿음 속에서 미래 성공에 대한 기대감을 갖는 것은 향후 성과를 내는데 중요하다. 또한, 인간관계 또는 직무수행 중 갈등 및 실패가 발생 할 경우라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회복 될 수 있도록 개인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개인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상대방의 의견에 공감하는 자세를 갖는 것도 중요하다. 우리 주변에서 특정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상태 또는 감정을 마치 자기자신의 처지로 가져와서 느끼고 슬퍼하기도 하고 즐기기도 하는 경우를 접할 수 있다. '공감능력'은 대인관계와 업무수행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이끌면서 많은 좋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 때문에 우리들 모두 원만한 '공감능력'을 갖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조직적 차원에서 구성원들의 '긍정심리'와 '공감능력'을 관리하고 육성해야 할 것이다. 조직의 성과를 더 많이 창출하기 위해서는 구성원에 대한 학습과 훈련을 통해 '긍정심리'와 '공감능력'을 관리하고 육성·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기존에는 조직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조직평가, 기술사업화, 기술이전, 지식재산권, 마케팅 등과 같은 조직차원의 이슈에 집중했다. 이제는 조직 구성원 개인차원의 이슈에 관심을 기울이고 특히 구성원들의 '긍정심리'와 '공감능력'을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서영욱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