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한상철 목원대 교수, 강태근 소설가, 박헌오 시조시인. 박용래 시인 40주기 기념 학술대회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는 토론자들. |
한국작가회의 대전지회가 주관했고, 테미오래가 주최한 학술대회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 준수를 위해 야외에서 진행됐고, 줌(zoom)을 통해 온라인으로 생중계 됐다.
강태근 소설가이자 전 고려대 교수는 '정한의 시인 박용래 시인의 삶과 문학'을 주제로 발표했다. 강태근 전 교수는 한밭중 재학시절 주산을 가르치던 박용래 선생을 추억했다. 상업교사였으나, 수업시간 칠판에 시를 써두고 한없이 창밖을 바라보고 자작시를 읊어주던 시인을 통해 문학에 눈떴음을 설명했다.
강태근 전 교수는 "박용래 시인은 아름답게 도취해 아름답게 흔들리다 떠난 시인"이라며 박 시인의 마음에 고독과 술이라는 근원적 시 세계를 풀어냈다.
박헌오 시조시인이자 한국시조협회장은 "박용래 선생님의 '청시사'를 안내해 달라는 분들이 있다. 다른 지역에 가보면 훌륭한 문인들이 살던 집, 창작의 흔적을 보존해놨다. 대전은 현대 문인 가운데 누구의 집을 그렇게 해뒀는가에 대한 부끄러움도 있다"고 고백했다.
이어, "그 터가 주차장이라는 것은 안타깝지만, 공터로 남아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앞으로 그 흔적을 어떻게든 만들어 볼 수 있지 않겠는가"라고 제안했다.
2부 발표자와 토론자로 참석한 권덕하 시인과 남기택 문학평론가. |
권덕하 시인은 "박용래 선생의 시는 설명이 없다. 박용래 선생의 자연과 생명적으로 소통하는 생명의 시"라며 "파생적 감정이라든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생명의 존재를 어떻게 표현하면 시에 담아내야 했는지 고뇌해 왔다"고 압축했다.
남기택 문학평론가이자 강원대 교수는 "서정시라는 개념에 대해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현대시는 서정시다. 박용래 시인은 사전적 범주 안에서 재고 따져 표출하는 방식이다. 극한의 긴장을 표출하는 방식의 시"고 봤다.
박헌오 시인은 "박용래 시인이 세상을 떠난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유명해지고 그리워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시에 대한 평가가 더 활발해지고 있다"며 박용래 시인의 생명력을 대전의 문화로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박소영 한국작가회의 대전지회장은 "박용래 생애와 시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지향해야 할 나눔의 시간이 됐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를 위해 테미오래 1호 관사에는 박용래 시인의 청시사를 재현해 눈길을 끌었다. 박용래 시인의 유족들도 참여해 자리를 빛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