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는 누구에게든 어려운 것이다. 발음, 어휘, 문법 외울 것이 너무 많아 끝이 없다. 하지만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에게는 '특혜'가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한글이다.
자음과 모음 모두 다 합쳐도 불과 24개 밖에 안 되는 한글이 세상에서 제일 배우기 쉬운 글자인 것 같다. 중국어는 기본적인 3,500개 이상의 한자를 알아야만 웬만한 책이나 신문을 읽을 수 있다. 중국 어린이는 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거의 자기의 이름 밖에 못 쓰고 대부분 아이들이 초등학교 4, 5학년 돼야 겨우 쉽게 쓴 아동도서를 읽는다. 그러나 한국 아이들은 빠르면 4, 5살, 늦어도 7, 8살쯤에 스스로 책을 읽을 수 있다. 한국 어린이가 훨씬 일찍부터 자유롭게 책을 읽으면서 지식을 쌓을 수가 있는 것이다.
한글은 뜻을 몰라도 읽을 수 있고 듣는 대로 쓰면 맞춤법은 틀릴 수 있지만 알아볼 수는 있다. 반면 한자는 뜻을 알아도 발음을 몰라서 잘못 읽을 수 있고 아는 글자도 막상 쓰려고 하면 갑자기 생각이 안 나서 불편할 때가 많다. 수업 중이나 중요한 발표를 할 때 이런 일에 낭패를 당할 경우도 많다.
한글은 자질문자라서 외국어 발음을 잘 표현할 수 있다. 영어나 일본어 등 외국어의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면 바로 한국어처럼 쓸 수 있어서 세계화 시대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었지만 한글을 읽고 쓰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한글날'을 앞두고 외국인으로서 또는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이런 배우기 쉽고 쓰기 편리한 한글을 만드신 세종대왕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소옥형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