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노균 태권도문화원장 |
그러나 정관은 무시당했다. 국기원과 국기원 선거관리위원회는 30:31 이라는 과반수에도 불구하고 이상한 이론(?)으로 초대 민선원장을 선출했다. 그 이후의 사태는 ‘참담함’ 그대로다.
필자는 그 중심에 있던 후보자의 한사람으로서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과정에서 갑작스런 소 취하에 따라 많은 오해와 비난을 받았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난득호도(難得湖塗)를 일깨워 주신 훌륭하신 사도계의 선배님들의 가르침과 동료 후배님들의 한없는 격려와 사랑을 배웠다. 선, 후배님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후보자로 국기원 밖에서 '협치'와'포용'을 통해 국기원장의 리더십을 보충하고 개혁의 난제를 해결코자 하였으나 결과는 ‘실패’했다. 이 자리를 빌어 무도인의 한사람으로서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충심으로 유감의 말씀을 드린다.
지난 수개월 동안 하심(下心)으로 자신을 뒤돌아보고 절차탁마(切磋琢磨)를 통해 국내외 사범님들과 소통하고 '코로나19'란 격변의 사태를 이겨 나가는데 한 줌 같은 힘을 보태고자 노력하고 있다.
오늘 국기원 이사회에서는 국기원장 궐위에 따른 선거관리를 논의한다고 하니 지난 선거관리의 무능과 실패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한 치의 소홀함이 없이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세계는 전대미답(前代未踏)의 혁명적 변화 속에 있다. 따라서 세계태권도본부라 자칭하는 국기원에 쓴 소리 한마디 하고자 한다.
국기원이 세계태권도 본부인가? 엄연히 국기원은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 해 대한민국 정부 문화체육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설립되고, 대한민국 국기로 명문화 되었는데 외국인의 시각에서 볼 때는 오히려 더욱 한국화 한 것이 아닌가?
필자는 지난해 초대 민선원장에 출마하면서 비정부기구(NGO)로서의 국기원으로 각국 대표가 참여하는 '세계국기원총회'를 열어 세계태권도인들이 뜻을 모아 '다시 뛰는 국기원'으로서의 출발 원년을 공약으로 내세웠었다.
즉, 재단법인 국기원 정관과 더불어 국제기구로서의 규정을 별개로 채택하여 국기원의 현 이사회는 기존과 같이 운용하되, 원장을 총재로 하는 별도의 국기원총회 기구를 구성하여 국제기구(United Nations)로서의 면모를 갖추어야 한다는 뜻이었다.
국내 법률로 존재하는 국기원, 해외 지부도 없는 국기원, 내국인들의 크고 작은 목소리만 하염없이 맴도는 국기원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전제하에 이번 국기원장 선거가 준비되어야 하고 당선자는 대한민국 국기원을 넘어 세계태권도본부로서의 국기원의 기능과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혜안과 비전을 가져야 할 것 이다.
맨주먹 흰 도복 하나로 반세기 전 세계에 태권도를 보급한 1세대 대 사범님들의 자존을 회복하고, 세계 태권도인들이 국기원을 바라보는 시각과 바람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의식해야 한다.
구태로 "국기원 정책에 무조건 따라오라"는 조선시대 방식의 인식을 불식하고 국기원정책을 '무도 태권도니 경기태권도니'하는 해괴한 논리적 오류도 바로잡아야 한다.
무도 태권도는 국기원, 경기태권도는 세계태권도연맹이라는 이분법을 폐기하고 '태권과 道' 그 모두를 아우르는 태권도본산이 국기원이라는 브랜드로 태권도 글로벌 플랫폼(Global Platform)을 구축할 때 국기원은 비로소 세계태권도본부로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그리고 태권의 한문 표기도 어원도 불비한 '밟을'태(跆)에서 지구를 품는 '클'태(太)로 바꾸어야 한다.
국기(國旗)인 태극기와 함께 천. 지. 인이 하나가 되어 태극(太極) 품새와 홍익인간 사상으로 온통 하나가 되어야 한다. 삼 태극으로 승화되고 종주국 고유의 정신적 철학이 내재된 우주적 세계관으로 태권도인들의 메카인 국기원으로 거듭나야 한다. 국기원은 개혁돼 변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