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각종 시험이 많았다. 시험하면 누구나 과거(科擧)가 떠오를 것이다. 문과, 무과, 잡과(역과, 의과, 음양과, 율과) 등이 있었다. 고려 시대 실시되었던 승과는 폐지하였다. 인원이나 과정 등 시기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3년마다 정기적으로 선발하는 식년시, 경사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명명된 수시 시험이 있었다. 문과의 경우 예비고사라 할 초시, 복시에 합격하면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주었다. 선발된 사람은 생원, 진사라 칭했으며, 문신 선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졌다. 대과라 했는데, 대과 역시 두 번 치렀다.
세습되거나 시와 문장 유세로 등용되던 이전 시대에 견주어, 나름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인재 선발 방식이었다. 초기엔 상당히 엄정을 기했던 것으로 보인다. 시간이 지나면서, 여느 분야와 다름없이 제도, 구조, 방법 등이 문란해진다. 각종 부정행위가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된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급기야 과거제도 자체가 폐지된다. 958년(고려 광종 9년) 시작되어 무려 936년 동안 인재 등용의 산실이었다.
부정행위, 평생 시도조차 해보지 않은 정직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너나없이 하는 노골적 부정이 못마땅해 시험을 포기한 일도 있다. 붓대나 콧구멍, 속옷에 요약본 숨겨가기 등 엿보고 쓰는 것은 그나마 양반이다. 미리 문제지 빼내 알려준 일이 최근에도 있었다. 거짓과 기만, 기상천외한 술수가 이슈로 등장하여 갑론을박 중이다. 법이 문제가 아니다. 고금이 다르지 않아, 전하는 기록물이 많다. 답안지 미리 만들어가기, 시험지 바꿔치기, 결탁하여 채점자가 후한 점수 주거나 합격자 이름 바꾸기, 다른 사람 글을 복제하거나 대작과 대필 하기 등 수법이 헤아릴 수 없다. 심지어 담장 밖에서 과장 안과 대나무 통으로 문제와 답지를 주고받기도 했다.
정조실록 24년 기록에는 과거 지원자가 많아 문과 무과 각 3곳에 과장을 설치하였다. 왕세자 책봉을 기념하여 특별히 열리는 정시(庭試)였다. 3월 21일과 22일 이틀간 참여한 응시자 수가 무려 21만 5417명이었다 한다. 지금으로 쳐도 어마어마한 숫자이나 당시 한양 인구 20 ~ 30만으로 추산할 때 놀랍지 않을 수 없다.
왜 이렇게 과거시험에 매달렸을까? 과거시험 통하여 벼슬길에 오르는 것이 최대의 효이자 충이며, 거의 출세의 시작이요 가문의 최대 영광이었다. 문과의 경우 3년에 보통 33명 선발했으니 실로 맹구우목(盲龜遇木)이었다. 나라에 문과 자리는 통틀어 500여 개에 지나지 않아 합격한다 해도 벼슬길 오르기가 쉽지 않았다. 등용문은 좁고 인재는 넘쳐, 당파싸움 근원이 예에 있다는 견해가 있을 정도다.
지나치게 많은 사람 응시에 당일 발표하는 결과가 어찌 정상적으로 평가되겠는가? 남보다 빠르게 시험문제를 보고 신속하게 답안을 제출하는 것이 유리하다 생각했다. 과장에 먼저 들어가기 위해 전날부터 진 치고 있었다. 자리다툼이 치열하여 재빠르게 뛰어 들어가 일산을 피고 등을 밝혔다. 신속한 답안 작성도 필수였다. 당연히 여러 사람이 동원되었다. 과거 보는 당사자는 물론, 자리 잡아주는 선접(先接), 대신 답안 작성하는 거벽(巨擘), 대필해주는 사수(寫手), 심부름하는 노비 등 6명 이상이 한팀이 되어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다. 정작 당사자는 하는 일 없이 우두커니 자리 차지하고 앉아 시간을 보냈다.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 김홍도, 비단에 수묵담채, 37.5㎝ × 71.5㎝ |
"봄날 새벽의 과거시험장, 수많은 사람들이 과거 치르는 열기가 무르익어, 어떤 이는 붓을 멈추고 골똘히 생각하며, 어떤 이는 책을 펴서 살펴보며, 어떤 이는 종이를 펼쳐 붓을 휘두르며, 어떤 이는 서로 만나 짝하여 얘기하며, 어떤 이는 행담(行擔)에 기대어 피곤하여 졸고 있는데, 등촉은 휘황하고 사람들은 왁자지껄하다. 모사(模寫)의 오묘함이 하늘의 조화를 빼앗는 듯하니, 반평생 넘게 이러한 곤란함을 겪어본 자가 이 그림을 대한다면, 자신도 모르게 코끝이 시큰해질 것이다. 강세황.(貢院春曉萬蟻戰, 或有停毫凝思者, 或有開卷考閱者, 或有展紙下筆者, 或有相逢偶語者, 或有倚擔困睡者, 燈燭熒煌人聲搖搖, 摸寫之妙可奪天造, 半生飽經此困者, 對此不覺幽酸. 豹菴)"
오늘날 시각으로 보아도 구도나 묘사가 돋보이는 이 그림은 김홍도가 풍속화 전성기인 30대에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동란에 참전했던 미 해군 Gene J. Kuhn이 1953년 그림을 사서 가지고 가 소장하였다. 다시 Patrick Patterson씨가 구입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서울옥션이 구입 환수해서 고국으로 돌아왔다는 소식이다.
그림이 곧 역사이기도 하다. 이참에 그릇된 일은 반복되지 않기를, 참다운 과거와의 대화로 역사가 미래의 시금석이 되기를 소망해 본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