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만 대전테크노파크 원장 |
최근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전과 세종의 통합에 대한 화두를 던졌다. 세종과 대전은 이미 공동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고, 국가 행정기능의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허태정 시장은 행정수도 기능의 통합을 넘어서 지역균형발전과 대전·세종·충청의 협력을 통해 중부권의 한축인 대전·세종을 포함한 충청권 전체의 새로운 기회를 찾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청과 세종시청사 간 거리는 승용차로 30분 정도로 서울의 강남에서 강북 이동거리보다 짧다. 현재 세종은 기획재정부를 비롯한 정부기관과 한국개발연구원 등 26개 인문연구기관이 소재하고 있고 대전은 중소벤처기업부, 조달청, 3군사령부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40개의 이공계 연구기관과 KAIST, 충남대 등 13개 대학이 위치해 있다. 인프라 부분만 보면 국내 최고의 국가 기관들이 모여 있고 전국의 인재와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들이 조성되어 있다.
대전·세종 통합을 위해선 공동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는 두 도시 간 인프라 조성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전은 세종시와 함께 대세밸리 구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완성, 충청권 광역철도사업,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연장 등 다양한 상생협력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대전·세종은 국가 균형발전의 중부권 중심축으로 하나의 경제권으로 통합이 가속화 될 수밖에 없는 지리적 위치로, 긴밀한 협력을 해나가야 하는 운명 공동체다.
또한 대전과 세종에 특화된 산업의 성장 토대를 구축해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기반을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일례로 최근 코로나 19로 대전 바이오기업들의 국내외 시장에서의 약진은 대전 기업들에게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고 있다. 대전과 세종에는 전문기술과 R&D를 통해 창업하려는 벤처창업, 기술 기반 창업이 매우 많아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면 경제적인 파급 효과는 클 것이다.
지역주도형 뉴딜도 이러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
대전과 세종의 최대 강점인 기업, 대학, 정부출연연 등이 함께 힘을 합친다면 두 도시의 육성산업인 바이오메디컬, 부품소재, 인공지능, 5G산업을 선도하는 국가균형발전의 축을 충청권이 가져오는 데 훨씬 빠르게 대응하고 기반을 갖춰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대전혁신도시 방향도 통합에 기초해 검토해 볼 만하다. 대전과 세종 중간에 위치해 있는 대덕산단 등의 공동 개발과 양 도시의 특화된 기업유치를 통해 기업과 산업의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협력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향후 10년간 대전은 2022년 국제행사로 승격된 UCLG(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세계지방정부 연합) 세계총회 개최를 비롯해 내외부적으로 몇 차례 도약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앞두고 있다.
대전시와 세종시는 이제까지 자연스럽게 형성된 공동생활권의 기회를 살려 통합이 가져올 두 도시의 경제, 문화, 과학산업 전반에 가져올 변화와 효과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대전환의 시기에, 지금부터라도 대전·세종·충청이 향후 100년 지속발전 가능한 도시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계획을 머리를 맞대고 체계적으로 준비해 나간다면, 수도권에 필적하는 제2의 수도권이자 국제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수만 대전테크노파크 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