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대전문화예술정책토론광장 2차 토론회가 28일 개최됐다. |
이날 토론회에는 이영근 예술의전당 공연기획과장, 박경덕 중구문화원 사무국장, 성용수 테미오래 총괄팀장, 김원식 대전예총 부회장, 아트그라운드 플래닌 이경수 대표, 작은극장 다함 김영태 대표, 마당극패 우금치 성장순 극장장, 중도일보 문화담당 이해미 차장이 참석했다. |
문제 제기를 통해 공유와 협업을 고민하고 대전시의 문화정책으로 관철할 수 있도록 예술인 스스로 변화의 주체가 되어보자는 첫걸음이다.
이런 취지로 열린 '2020 대전문화예술정책토론광장'은 (사)한국예총대전시연합회가 주최하고, 대전민예총, 대전문화원연합회, 대전원도심문화예술인행동이 협력기관으로 참여했다. 지난 8월 1차 토론회에 이어 2차 토론회는 28일 대전NGO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토론회 주제는 '코로나 시대 시민들이 향유할 수 있는 문화기반시설'이다. 공공과 민간 대표자들이 참석해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함께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나눴다.
민간시설의 문화계 관계자들은 턱없이 부족한 대전시의 보조금 지원과 기술을 운영상의 어려움을 토했다.
마당극패 ‘우금치’ 성장순 극장장은 "지역의 공연업계가 서로의 밥그릇 싸움이 아닌 각자의 영역에서 특화돼야 한다. 중구는 테미오래, 근대문화탐방로, 대전역과도 연계성이 좋다. 이런 연계 상품을 만들어서 대전 방문의 해를 위한 기획력과 홍보, 예산 지원이 필요한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작은극장 ‘다함’ 김영태 대표는 "다함의 주 관객층은 유치원과 초등학생 단체관람이다. 코로나19로 인해 관객 대상을 누구에게 홍보해야 하는가 고민이다. 우리는 안전하니까 오세요라고 말하는 것도 공공공연장과 시, 지자체가 같이 해줘야만 한다. 또 각 극장의 콘텐츠 공연물을 홍보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아트그라운드 플래닌’ 이경수 대표는 "1000석 공연장이 대학교에 있는데 이는 다목적홀로 분류된다. 공연장이 되려면 기술인력이 필요한데, 기존 공연장과 대학 다목적홀을 시가 협약을 맺어주면 어떨까 싶다. 자치구마다 1000석 이상의 공연장을 만들려면 수 십 억 원이 필요하기에 인력을 양성하는 방식이 우선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간공연장은 주차시설이 열악하고 전기료가 교육용으로 전환되지 않아 전기료 감면 혜택도 받을 수 없다. 지역 민간 극장의 현실을 들여봐 달라"고 주문했다.
김원식 대전예총 부회장은 "시각과 전시 분야에서 말씀드리면 전시 공간이 정말 없다. 구별로 빈 공간이 많다. 전시와 세미나 등 복합적인 커뮤니티가 가능한 시설이 필요하다"라며 "문화원이 대관업무를 맡아서 지역의 전시관 연계해 주면 전문성, 대중성, 행정 사무처의 투명성까지 모두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공공기관과 민간의 긴밀한 협업만이 살길이라는 제언에는 모두가 공감했다.
박경덕 중구문화원 사무국장은 "한 가지 제안을 드리면, 공공이 폐쇄될 경우 공연장을 민간에 위탁했으면 한다. 50인 이하는 가능하니까 그 정도라면 숨통 트일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게 각자의 장점을 살려보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성용수 테미오래 총괄팀장은 "이를테면 테미오래와 같은 지역 내의 새로운 공연장을 찾고, 소규모 관객을 위한 공연이 필요하다. 지역예술인들이 정보과 공감, 프로젝트를 연계할 수 있는 로케이션 체제도 필요하다. 예술과 장르별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영근 대전예술의전당 공연기획과장은 "1997년부터 대전예술의전당을 조성하면서 예당이 생기면 쏠림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우려했었다. 지역의 대공연장이 연달아 폐쇄되면서 예당에서 공연이 더 늘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학 공연장을 적극 활용했으면 한다. 각 대학 공연장을 특화하다 보면 기술시스템도 발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회를 맡은 박은숙 원도심예술인행동 공동대표는 "대전이 소위 말하는 문화기반시설이 전국 6개 광역시 중 2위다. 문화시설 수가 적지 않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쓸만한 공간은 많지 않다. 이는 지역별로 격차가 크기 때문"이라며 "오늘 제시되는 현장의 목소리를 정리해 대전시에 워킹그룹 조성을 제안하겠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