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 중종반정이라 쓰고 있으나 중종은 즉위 시 한 일이 없다. 등 떠밀려 용상에 앉은 것이 전부다. 근정전에서 즉위, 백관의 하례를 받는다. 천인공노할 죄인이 아닌 사람은 모두 사면하고 풀어준다. 성균관을 바로잡고 삼사(三司 :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기능 복원으로 새 시대를 열고자 한다. 연산군 재위 시 뭉개지고 엉터리로 만들어진 잘못된 법을 바로잡는다.
삼사는 언론기관이다. 언론은 단순소통뿐 아니라, 이상 정치 구현을 위한 간쟁과 인사, 정치에 관여하는 참정기관으로 경연과 서연에 입시하거나 호종하는 시신(侍臣), 관원의 임명이나 입법 및 제도의 시행에 참여하고 서명하는 서경(署經), 임금의 교지로 법령을 집행하며 관리의 잘못을 규찰하는 법사(法司) 기능을 말한다. 감찰 기관으로 탄핵을 맡았던 곳이다. 왕권이나 신권의 독주를 막고 균형있는 정치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아무런 준비 없이 19살에 즉위한 중종은 반정 공신에 둘러싸여 아무 일도 소신 있게 할 수 없었다. 왕을 강제 이혼시키는 등 반정 공신의 횡포 또한, 만만치 않았다. 대부분 연산군 휘하에서 국록을 먹지 않았는가? 국정 혼란이 지속 되었다. 10여 년이 지나자 박원종, 유순정, 성희안 등이 죽어 겨우 숨이라도 편히 쉴 수 있었다. 누구라도 일을 잘 해보고 싶지 않겠는가? 이때 등장한 사람이 조광조(趙光祖, 1482 ~ 1519, 조선 문신)이다.
국가 조직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특정 세력에 좌우되는 난국에 삼사 또한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다. 국왕 심기를 살피느라 오히려 언론 탄압에 앞장선다. 조광조는 1515년 사간원 정언으로 제수 된다. 첫 출근과 함께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사간원과 사헌부 대간 전원을 파직하라는 상소를 올린다. 군주 포함 백관의 격론이 이어지나 결국, 양사 대간 모두가 파직된다.
조광조는 원래 탁월한 학문과 반듯한 행실로 주목받던 인물이다. 실력뿐만 아니라 청렴결백했다. 국왕과 왕실까지 바른 생활을 요구하며 도덕성 회복을 주장하는 한편, 거침없는 개혁으로 국정 중심에 선다. 출사 3년 만에 언관 최고 관직인 대사헌에 오른다.
너무 많은 중종반정 정국공신(靖國功臣)도 문제였다. 그중에는 아무런 공이 없는 가짜 공신도 부지기수였다. 조광조가 그냥 지나칠 리 없다. 1519년 정국공신 개정에 앞장선다. 117명 중 76명이 개정 대상이었다. 반발세력이 없을 수 있겠는가? 주초위왕(走肖爲王) 등 모함과 왜곡이 있었다. 중종은 개정 허락 이틀 만에 영을 거두고 붕당 죄로 조광조 일파를 잡아들인다. 이것이 기묘사화(己卯士禍)이다.
조광조는 왕도정치(王道政治) 실현으로 요순시대 같은 이상 정치를 구현하고자 했다. 물거품으로 끝났으나, 훗날 그의 도학정신과 어떤 권력에도 굴하지 않는 기개는 선비와 관료의 길라잡이가 되었다.
중종은 성정이 몹시 우유부단했던 모양이다. 재위 시 조광조 제외, 대부분 기묘 사림이 복관 된다. 당시에도 언론 자유와 정론 위력이 세간에 깊이 인식되었다. 더구나 삼사의 대간은 임금 앞에서도 굴하지 않는 선배의 기개에 깊이 고무되었다. 그런 긍지와 자부심이 담겨있는 그림이 전한다.
조선 1540년. 작자미상. 세로 93㎝ × 가로 61㎝. 1축. 비단에 수묵. 국유 |
보물 제868호로 1540년 작인 '성세창 제시 미원계회도(成世昌題詩薇垣契會圖)'를 보자. 상단에 전서체로 미원계회도(薇垣契會圖)라 쓰여있고, 그 아래 성세창 제시가 적혀 있다. 손상이 심해 판독이 난해하다. 시와 함께 그림이 있고, 그 아래 좌목이 있다. 이름만 쓴 것이 아니다. 직책이며 본관, 부친에 대한 사항까지 적어 놓았다. 얼마나 대단한 사람들이 함께했는지 한 번 볼래? 뭐 이런 식이다. 자기 직무에 대한 자부심 아닐까?
어느 법제고 완벽할 수 없다. 오남용이 나오고 허점이 있게 마련이다. "저는 그 어떤 역경 앞에서도 원칙을 지켜왔습니다"라고 항변을 들었다. 그럴지 모른다. 문제는 그 원칙의 기준이 서로 다르다는 데 있다. 말장난으로 끝낼 일이 아니다. 진정한 자부심과 긍지로 살아남을 처신을 고민하는 것은 어떨까?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