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
제사로 인한 이런 갈등이 나에게만 있을까. 제사는 현대인의 가정에서 겪는 불화의 원인 중 하나이다. 제사 지내는 여부는 각자가 알아서 판단할 일이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이 어떤 의미에서 제사를 중시하고 지내왔는지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제사는 본래 인류문명과 함께 시작된 가장 시원적인 문화행위이다. 천지신명을 비롯하여 나무 바위 산천 등의 신들에게 음식을 올리고 치성을 드리거나 기도하는 행위는 모두 제사문화의 일종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 유적을 보면 그들이 숭배하는 신을 대상으로 제사지낸 증거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개인이나 가족의 근신과 행복, 공동체로서 그 사회 구성원을 규합하고 질서와 안녕을 구현하며 통치자의 존엄을 확보하는데 이용한 의식이 제사였다. 제사 문화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문화에서 가장 보편적인 행위였다.
유교문화는 사람이 실천해야 할 행위로 제례를 중시하고 체계화 했다. 신분별로 제사 지내는 범위와 절차도 달랐다. 예를 들면 천자는 천지(天地), 사방(四方), 산천(山川), 오사(五祀)에, 제후는 사방, 산천, 오사에, 대부는 오사에, 선비는 선조에 제사지냈다. 지내야 할 제사가 아닌데 지내는 것을 음사(淫祀)라고 하여 금지하였다. 사당도 본래 천자가 7위, 제후가 5위, 대부가 3위, 사(士)가 1위를 모시고 서인들은 사당이 없고 침실에서 부모에게만 지낸다. 이로 보면 조선후기에 행해진 4대봉사는 고대의 예법에 없는 제도이며 일반 서민은 부모만 지내면 되었다.
유학에서 인간사회의 모든 관계를 예(禮)로 대변한다. 인간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법 등에 관련된 모든 행위를 예 관계로 규정하고 당위성을 설명한다. 예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제례를 가장 중시한 것은 효의 실천과 관계되기 때문이다. 효는 모든 행동의 근본이다. 효의 마음을 국가로 확장하면 충(忠)이 되며, 친구관계에서는 신(信)이 되며 사회에 나가서는 성실함과 공손함이 된다.
제사문화가 현대인의 바쁜 삶에 다양한 불편과 고통을 주는 것도 틀림없다. 그래서 이제는 제사에 대한 근본원리를 알고 바람직한 제사문화를 다시 세울 필요가 있다. 제사 음식과 절차도 줄이고 가족들의 합의하에 종교형식에 맞는 제사를 지내도 된다. 어떠하든 간에 제사의 본질인 공경하는 문화를 살려갈 필요가 있다.
증자는 "초상에 예를 다하고 조상의 제사에 정성을 다하면 백성들의 덕이 후해진다.[愼終追遠 民德 歸厚矣]"고 하였다. 공자가 말한 문(文)과 질이 잘 어우러진 사회가 아닐까. 문은 일정한 형식 즉 예의나 제도 등을 말하며 질은 본바탕으로 본성이나 진심을 말한다. 진심은 없으면서 겉치레만 번지르르한 사람도 있으며 진심은 충만해 있는데 행동이 투박한 사람도 있다. 이 둘이 잘 조화되어 하나의 문화를 이룬 사회가 아닐까. 사람들이 진실되고 성실하면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도의에 입각한 세련된 예의문화가 정착될 때 진정한 고품격 사회로 진입할 수 있다. 제사문화를 낡은 전통문화로 치부하지 말고 그 의미를 되새겨 우리 사회 병폐를 치유할 수 있는 소중한 문화의 유산으로 재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