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혁 작곡가 |
우선 공자와 자공의 대화를 소개한다. 자공이 물었다. "나라를 이루는 것이 무엇입니까?" 공자는 "국가를 이루기 위해선 '식(食)·병(兵)·신(信)'있어야 한다"라고 답했다. 자공이 다시 질문 한다. 그렇다면 "이 셋 중 버려야 한다면 무엇을 먼저 버려야합니까?" "'병(兵)'을 먼저 버린다" 그리고 다음을 묻자. '식(食)'이라고 했으며 마지막 까지 갖고 있어야할 것은 '신(信)'이라고 했다. 먹는 것은 사람이 생존을 위한 기본 조건이다. 그런데 먹을 것이 있고 상호 신뢰가 없다면 그 것은 싸움의 원인이 된다. 그런데 신이 있다면 그것을 나눌 수 있게 된다. 신은 눈앞의 이익을 뛰어 넘는 가치가 있다. 음악 또한 그러한 가치가 있다.
우리는 예술을 사치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배고픈데 무슨 예술이냐?"라는 얘기를 종종 하곤 한다. 정말 그럴까? 예술은 아니 더 구체적으로 음악은 경제적 어려움이나 생존의 위기 속에서 위로와 희망이 되어왔다. 우리의 역사는 위태로운 시기가 많았고 가난한 시절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그런데 우리민족은 그 어려움 속에서도 노래를 잃지 않았다. 민요를 통해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위기를 극복했다. 대표적으로 아리랑이다. 각 지방마다 그 곳만의 삶을 담은 고유의 아리랑이 있다. 이렇게 우리는 삶 속에서 노래를 부르며 정서를 순화하며 어려움을 극복해왔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곡 시편 23편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라는 가곡은 전쟁 속에서 태어났다. 6·25 동란 1953년 피난민들이 부산에 모였다. 모두가 하루하루가 불안했던 때다. 이 시기 나운영 선생은 시편 23편을 작곡하였다. 그가 몸담고 있던 서회에서 그의 반주와 부인인 성악가 유경손 여사의 노래로 초연하였다. 어려움 속에서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는 내용의 이 곡은 이내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감동을 주었고 그 어려운 시기에 위로와 힘이 되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한국인들이 사랑하고 즐겨 부르는 가곡이 되었다.
세계 2차 대전 프랑스의 작곡가 메시앙은 나치의 수용소에 갇히게 되었다. 한시 앞을 가눌 수 없는 상황에서 그는 작곡을 하였다. 그는 전쟁의 끔직 함을 음악 속에 그대로 표현 하였다. 바로 '시간의 종말을 위한 4중주' (Quatuor pour la fin du Temps)'라는 곡이었으며 1941년 1월 15일 전쟁 포로들 앞에서 살을 에는 추위 속에서 초연되었다. 이 후 이곡은 세계적으로 알려져 듣는 이들을 숙연하게 하였다. 이 음악은 이해하기가 어려운 음악에 속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형태의 아름다운 음악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체험이 녹아 있기에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감동을 받는다.
베토벤은 귀가 안 들린다는 음악가로서는 치명적인 위기 속에서 이를 극복하고 많은 걸작을 작곡하였다. 그는 음악을 통해 위로와 용기를 얻었고 또 이를 우리에게 전해주었다. 이러한 그의 삶과 음악을 통해 우리는 용기를 얻는다.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이 대표적인 예다. 그의 환희의 합창은 역경속의 우리에게 힘을 내 극복하고 환희의 세계로 오라고 외치고 있다.
전쟁 속에서 조차 음악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었다. 지금 잠시 우리는 코로나 19로 인해서 위기를 격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성숙한 민주정신과 시민의식으로 잘 극복해가고 있다. 이 시기를 같이 격고 있는 우리 곁의 음악가들은 이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고자 음악회를 준비하며 여러분들을 기다리고 있다. 그들의 음악을 통해 위로와 용기를 얻기를 바란다. 어렵지만 조금 더 힘을 내자. 코로나 19 "이 또한 지나가리니"
안성혁 작곡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