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평기록관 개관 기념전 포스터. 코로나19 확산으로 현재 온라인 전시로 대체하고 있다. |
한국국가기록연구원과 트라이튼테크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운영 지원' 연구용역 최종보고서에는 지역은 공동체와 문화, 경제, 지리, 역사적 발전, 경관, 정치, 인구, 종교, 사회상, 기술 등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데, 기록은 지역사회의 기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공공기록물만으로 부족한 지역사회의 기억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민간기록물이 필요하다고 쓰여 있다.
지역과 관련한 공공기록과 민간기록이 한데 모여야 지역에 대한 완전한 도큐멘테이션(documentation 기록, 문서화, 기록문서)이 가능해진다는 점도 썼다.
2007년 발표한 최종보고서는 민간기록이 바탕이 될 때 행정의 지방자치가 이뤄졌듯 기록관리 또한 기록자치 실현이 가능해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서울기록원과 증평기록관은 '민간기록'에 대한 목표와 방향성을 확실하게 설정한 곳으로 꼽힌다. 이는 행정기록물만으로는 기록원의 역할이나 가치가 충족될 수 없다는 사실이 투영된 결과물이다.
서울기록원은 매년 '서울기록화' 사업을 통해 민간기록을 수집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회적 기억인 세월호 기록, 촛불운동 기록 등이 있고, 작년부터 서울을 총체적으로 기록하기 위해 S-NAP라는 120개 수집주제영역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주제가 선정되면 기록을 수집하고 다큐영상(영상아카이빙)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서울의 경관 변화, 재개발 등과 관련한 다양한 형태의 아카이빙 사업, 예를 들면 옛길이나 골목길 등을 사진과 영상 기록화, 발간 및 전시를 위한 기록수집은 서울시의 직·간접 부서에서도 수행하고 있다. 다만 각 부서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아카이빙 사업은 결과물에 대한 장기지속과 보존,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서울기록원이 서울디지털아카이브시스템(SDA)에 탑재해 서비스할 예정이다.
서울기록원 김은실 기록정책과장은 “실물기록 수집을 고집하지 않는다. 자생적으로 활동하는 시민기록 활동가들을 찾고 그 활동을 더 잘할 수 있도록 협업하며 그 관계를 수집하는 것도 서울기록화 사업의 중요한 과제"라고 했다. 이어 "시민과 지역민에게 사랑받는 문화기관이자 기억기관이 될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하는 것이 서울기록원의 지향점"이라고 밝혔다.
증평기록관은 증평군 전역을 온전하게 기록으로 남기는 방법, 군민이 적극 참여 할 방법을 고민해 왔다.
신유림 기록연구사는 "증평 아카이빙 프로젝트가 올해부터 2023년까지 진행된다. 증평의 개인, 가족, 학교, 마을, 단체 등 다양한 주체들과 관련된 기록들이 문서뿐만 아니라 사진, 영상, 영화, 그림, 박물 형태로 수집되고 만들어진다"며 민간기록의 수집 과정을 설명했다.
이어 "농촌마을의 현재를 기록으로 남기려 하지만 무엇보다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농촌마을 주민들이 기록을 찾고 만드는 일을 경험하면서 즐거움과 행복을 느끼고 기록을 통해 농촌마을의 공동체 복원과 세대 간 이해의 폭을 좁혀가는 것에 있다"고 말했다.
서울기록원과 증평기록관은 결과적으로 민간기록물과 지역민 활동가를 도입해 '기록자치화'의 물꼬를 틀겠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대전의 경우 기록원 방향성 정립보다는 건립 의지만 표출된 상황이다.
대전시 기록관리 관계자는 "궁극적으로는 행정기록과 민간기록을 함께 가는 것이 맞다. 다만 민간기록물이 어디까지 인가 범위를 설정하고 기록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향을 만들어야 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서울기록원은 5.18 광주 민주화운동 40주년 특별전 '넘어 넘어'를 진행 중이다.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