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우(씨엔유건축사사무소 대표/건축평론가) |
자세히 들여다보면 일본 정부당국 멋대로, 객들이 하고 싶은 대로 도시계획을 만들어 시행하였다. 이는 신흥도시 자체가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만들어 놓은 제국주의의 부산물이고, 식민사에 의하여 형성된 근대도시였기 때문이다. 해방 후 점령자 입장에서 만든 도시에서 그들이 남기고 간 장소에 있는 건물을 모두 부셔버리고, 재건하는 것이 일상이었다. 우리는 이를 일제청산이라고 합리화 시키면서 실행하였고, 건축물을 철거하는 작업을 관에서 방조하고 있는 느낌이 들어 대체로 난감하였다. 그 결과 대전은 건축적으로 근대에 형성된 도시임에 근대건축물이 많이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건물을 하나씩 부셔버려 보존되어 있는 관공서 건물이 드물다. 일시적으로 단순무모한 생각으로 결정하여 한번 부셔버린 공간은 영원히 사라지고 만다. 정치세력이 우선인 지방정부는 일부 주민의 이해타산과 뜻을 같이하면 공익을 위한다는 미명아래 재개발을 부추기고, 건축물을 소유한 일부 개인은 옛집이라서 사용하기 불편하다며 동참하여, 오랫동안 살아 온 삶의 터전을 반나절 만에 중장비의 굉음과 함께 부셔버리고 만다. 어떤때는 대전이라는 도시자체가 없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위기감마저 든다. 이는 해방 이전에 지은 모든 집이 일제잔재라면, 전에 태어난 사람들의 생각과 주장이 모두 틀렸다는 고전적이고 편파적인 해석이기도 하다.
대전은 누가 뭐래도 철도교통의 중심도시이다. 철도 노선이 고속국도로 이어지면서 지금의 생활권을 유지하면서, 갑년체전과 대전엑스포를 개최하면서 큰 걸음을 내딛었고, 대덕연구단지와 대청댐이 뒷받침이 되어 이뤘지만, 이 모든 사실 앞에는 철도가 있었다. 그래서 '한국철도 공동사옥'이 대전역 동광장에 세워져 랜드마크 역할을 하면서 각광받고, 더불어 중앙시장과 소제동 철도관사촌이 철도여행의 기점으로 국민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철도관련 인프라가 없던 차에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형성하기 시작한 '소제동 철도관사촌'이 가장 대표적인 사례이다.
저녁나절 대전역 뒷거리 '소제동 철도관사촌'으로 나와 보세요. 여기에는 대동천을 따라가는 화사한 벽화가 있고, 그동안 버려져 있던 관사촌을 지붕틀을 다듬어 속살을 보여주면서 탄생한 집들, 타이완중화요리를 파는 '동북아', 15년간 방치된 대나무 숲으로 꾸민 '풍뉴가', 독일에 온 듯한 '슈니첼', 지역 농산물로만 만든 음식을 파는 'FOUND', 저녁나절 햇빛이 잘 드는 '볕', Berry Donut, 온천집,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사막을 옮겨온 휴업집 'SALT', 몸에 좋다는 '두충나무 집', 사막의 'Oasis', 태국에 온 듯한 '치앙마이', 불교풍의 '그레이 구락부', 소제동 아트벨트, 관사 27호, 소제 창작촌, 노란의자가 예쁜 '층층층' 등 이름만 들어도 끼가 펼쳐있는 동네를 돌고 나서 같이 이야기를 나눕시다.
우리가 지금 어느 시기에 살아가고 있는지? 젊은이 들이 왜 이곳에서 모여 앉아서 차를 마시려 들고, 식사를 하면서 인생을 이야기 하려 드는지를 귀 기울려 보자. 그리고 너무 효율지상주의에 따르지 말고, 내 것이 아니면 별게 아닌 듯 생각하지도 말고, 우리가 스스로 우리의 과거를 이렇게 쉽게 부정한다면 앞으로 한걸음도 나갈 수 없다는 사실을 빨리 느껴보자.
유병우(씨엔유건축사사무소 대표/건축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