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민들의 일두일미(一斗一米)운동에 힘입어 국내 유일의 도립 종합대학으로 출범한 충남대는 여권의 행정수도 논의 속에서 수도대학으로의 도약이라는 호재를 맞았다.
하지만 여러 부침을 겪으며 10개 거점 국립대학 가운데 중위권을 유지하는데 그쳐온 충남대가 명실상부한 행정수도의 대표 국립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앞으로의 숙제도 만만치 않다.
중도일보는 이진숙 총장 취임 6개월 맞아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대전, 충남의 거점 국립대인 충남대의 역할과 앞으로의 방향을 3회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 주>
상. 행정수도 시대... 국가대표 대학으로
중. 이진숙 총장 취임 6개월, 위밍업은 끝났다
하. 내부 결집, 외부 동력 필요
대전, 세종, 충남의 지방 거점 국립대인 충남대는 6.25 전쟁 중 일두일미(一斗一米) 운동을 통해 탄생한 지역의 자산이다.
경북대·부산대·전남대 등과 4개 지역거점국립대로 손꼽히는 충남대가 여권의 행정수도 논의와 맞물려 개교 이래 그 어느때 보다 중요한 시기를 맞고 있다. 21대 국회 개원이후 구체화되는 행정수도 완성 논의와 함께 거점 국립대학을 넘어 행정수도안에서의 역할을 주문받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국립대설치령에 가로막혀 대전권안에서만 행보를 거듭하던 충남대는 올 초 '국립대 설치령 일부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세종시 진출의 법적 근거를 확보하며 본격적인 세종시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최근 교내 학과, 단과대 등을 대상으로 세종시 진출 의향서를 받는 등 세종시 진출을 위한 행보도 구체화되고 있다. 세종시 진출 의향서에는 15개 학과와 단과대가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충남대는 세종시 출범 이듬해인 지난 2013년 국가정책대학원을 설립하며 세종시 선점을 모색해 왔다. 이후 장대동 임야와 세종시내 LH 소유 토지를 맞교환하는 방식으로 세종시로의 진출을 추진했던 충남대는 이번 개정안을 계기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추진하는 공동캠퍼스에 의예과 입주를 추진하고 LH와의 대토 논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단독캠퍼스를 설립해 의융합복합캠퍼스를 조성하는 등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했다.
그러나 지역에서는 충남대가 명실상부한 행정수도에서 국립대으로서의 온전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국가정책대학원 설립과 충남대 세종병원 개원, 일부 학과의 이전을 넘어 보다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전략과 실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여기에 충남대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거점국립대학, 더 나아가 행정수도 대표 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전, 세종, 충남 지자체와의 연결고리 재건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타 거점국립대가 지자체와 정치권과의 연결고리를 끈끈하게 유지하고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충청권은 이 같은 공조가 느슨했다. 기대를 모았던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의 충격적인 탈락의 원인으로 지자체와 정치권의 공조가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영석 충남대 기획처장은 "지난해부터 대전과 충남으로부터 지역협력관을 파견받아 지자체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RIS사업 추진을 계기로 지역대학, 지역정치권과의 연결고리도 어느정도 만들어졌다고 본다. 앞으로는 이 같은 관계를 통해 비전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유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