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효준 대표원장 |
배우자나 지인이 병원을 가보라고 말을 듣고서야 내원하는데, 그런 경우에도 본인은 구취가 난다고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코로나 19 발병 후 마스크 착용이 생활화되면서 구취를 인지하고 병원에 내원하는 경우가 늘었다.
따라서 오늘은 구취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 해결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입 냄새의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은 치석이나 니코틴 침착, 음식물 부착으로 인한 잇몸의 만성 염증(풍치)과 충치로 인한 것이다. 입안은 타액(침)이 있고 체온을 유지하고 있어 음식물이 쉽게 부패하기 쉬운 장소다. 입안에서 음식물이 부패하면 잇몸에 염증을 일으키고 구취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충치의 절대적인 원인이 된다. 충치나 피와 고름이 나는 풍치에서 발생하는 입 냄새는 칫솔질을 잘하는 것만으로는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꼭 치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6개월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내원하여 치석 제거술 (스켈링)을 받고, 치과 검진을 받는 것이 추천된다. 치석 제거술은 1년에 한번 건강보험 적용이 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받을 수 있다.
코 옆쪽에 상악동이라는 빈 공간이 있는데, 그 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에도 심한 냄새가 날 수 있다. 상악동은 코와 연결돼있어 상대방보다 당사자가 냄새를 크게 느끼는 것이 특징이며, 항생제 처치로 간단하게 해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이비인후과에서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자는 동안 침이 적게 나오기 때문에 아침 기상 후 구취가 심해진다. 타액이 적어지면 세균이 혀와 치아 표면에서 빠르게 증식되기 때문에 구취가 발생하게 되는데, 대개 일시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식후나 양치질 후에는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경우 자고 일어나서 물을 마시는 습관은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가글액은 오히려 구강을 건조하게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구취 개선에 큰 도움이 안 될 수 있다.
입을 벌리고 자는 경우 구강 내가 건조해지기 때문에 구취가 더욱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입을 다물고 자는 것이 구취 예방에 도움이 된다. 주로 비염이 심한 경우 입을 벌리고 자는 습관이 생기기 쉽다. 만약 입을 벌리고 자는 습관이 있다면 비염치료를 받는 것이 도움될 수 있다.
식사를 거르거나, 단식, 다이어트 중에도 구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냄새는 양치질 후에도 계속 남아 있는데, 원인은 식사 시 탄수화물이 부족하여 케톤증이 나타나거나 체지방의 이용이 불완전하기 때문인데, 이럴 때는 가볍게 식사를 하거나 과일 주스를 마시는 것이 구취 완화에 도움이 된다.
당뇨병, 신장(콩팥) 질환 같은 병이 있어도 특징적인 입 냄새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당뇨병이 있으면 과일 냄새가, 신장질환이 있으면 비린내가, 편도선염이 있으면 치즈 냄새가 난다. 이때는 내과나 이비인후과에서 원인을 치료해야 한다. 많은 사람이 위산의 역류나 트림이 존재하는 경우 위장장애를 의심하지만, 위장장애로 인해 입 냄새가 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간혹 변비로 인해 입 냄새가 나지는 않을까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는 아무 관련이 없다. 입 냄새를 유발할 수 있는 방향성 물질들은 대장이 아닌 소장에서 흡수되기 때문이다.
또한 많은 경우에 타인이 인지할 수 없는 주관적인 입 냄새도 존재하는데, 이 경우 대부분은 후각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본인은 심한 입 냄새를 호소하지만, 객관적으로는 아무런 입 냄새도 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경우 구취측정기를 이용해 객관적으로 구취 정도를 측정해 볼 수 있다.
구강 내 원인(잇몸질환, 충치, 설태 등)에 의한 구취 발생은 구강 내 질병을 치료하고 혀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치료된다. 이러한 노력으로도 구취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내과적 진료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병원에 큰돈을 들이지 않더라도 올바른 잇솔질과 치간칫솔, 치실 등의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은 구강건강증진과 구취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점을 기억했으면 좋겠다.
/안효준 세하치과 대표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