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전문연구위원, RUPI사업단장 |
어느 날 우리 앞에 등장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이 세상을 온통 바꿔놓았다. 감염으로 고통받은 이들뿐만 아니라 평범한 모든 이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었다. 6개월 이상 좁은 집안에서 부대끼며 생활하게 되면서 갖가지 갈등도 생겼으나 한편으론 가족을 서로 이해하는 기회도 되었다. 이렇듯 타인과의 대면 접촉을 줄인다는 뜻이 담긴 '언택트(untact)'는 전 세계적으로 일상이면서 새로운 문화로 다가왔다. 하지만 갑작스레 들이닥친 언택트 문화가 모든 관계를 단절한 것은 아니다. 만남이 소원해지면서 그동안 형식적이었거나 그다지 필요하지 않던 사이는 자연스레 정리됐다. 또한, 코로나 창궐을 계기로 함께 사는 가족이나 가까운 친구 등 소수의 친밀한 관계에 더욱 집중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른바 '딥택트(deep+contact)' 시대다.
새삼 코로나가 발생하기 전 생활이 그립다. 주중에 외지에서 가족과 떨어져 생활하는 필자는 주말에는 오롯이 가족과 함께하는 규칙적인 일정으로 채워져 있었다. 금요일 저녁 맛집을 찾아다니는 외식으로 시작해서 새벽엔 만보 걷기 운동부터 발 마사지로 건강을 챙긴다. 토요일 오후 가족이 함께하는 영화관람도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코스 중 하나였다. 주일 새벽미사를 드린 후 챙겨 먹던 콩나물국밥, 시래기 선지국밥, 소국밥 등 새벽 해장국 맛도 압권이었다. 하지만 외식이나 영화관람은 언감생심 저만치 멀어져갔다.
한편, 코로나로 인해 나만의 시간이 많아져서 좋다. 코로나 이후 주말엔 낮잠을 즐긴다. 일요일에는 서재에서 기고문 등 밀린 글을 쓰거나 자료를 정리할 시간이 차고 넘친다. 또한 집에서 아내가 손수 요리해주는 카레나 된장찌개, 등갈비 김치찌개는 그 어디에서도 느낄 수 없는 맛이다. 이젠 영화도 집에서 얼마든지 골라 볼 수 있는 세상이 아니던가. 또 과거엔 유치하다고 느끼던 주말드라마도 너무 재미있다. 조금만 생각을 바꾸니 또 다른 행복이 펼쳐진다. 행복은 늘 내 주위에 있는데 너무 멀리서 찾았다.
딥택트는 단순히 가족에게만 국한된 이야기는 아니다. 온라인 세상에선 또 다른 딥택트 문화가 만들어지고 있다.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이뤄졌던 단순한 관계가 좀 더 깊은 속내를 공유하는 사이로 바뀌고 있다. 그러나 딥택드 문화에 마냥 찬사를 보내긴 어렵다. 깊은 관계라는 게 쉬운 일도 아니며, 오히려 나쁘지 않던 관계를 망칠 때도 있다. 하지만 코로나 시대에 딥택트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중요한 동력이 될 수 있다. 비대면 중심으로 사회가 재편되며 고립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럴 때일수록 가족이나 친구처럼 가까운 사람과 교류하는 딥택트는 더 큰 의미를 가진다.
코로나 환경에서는 낯선 이에 대한 거부감이 클 수밖에 없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끼는 가까운 관계에서 더 큰 행복을 느낄 수 있다. 딥택트 관계에서 오는 안정이 코로나를 극복하는 원천이 될 수는 있다. 그러나 긴 안목으로 볼 때는 딥택트에 안주해선 안 된다. 딥택트는 일시적인 징검다리일 뿐이다. 코로나를 서서히 극복해나가듯 인간관계나 접촉의 폭도 조금씩 넓혀나가야 한다. 너무 딥택트를 추구하다 보면 자칫 인간관계에 선을 그어버리는 편협한 방식으로 치우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디까지나 딥택트는 기존의 일상으로 복귀하기 위한 마중물일 뿐이다. 건강한 사회공동체는 서로 나누고 비비며 살아가야 한다. 그런 게 사람 사는 맛이다.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전문연구위원, RUPI사업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