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기록원 전경. 사진출처=내손안에서울 |
기록원(아카이브)은 도서관, 박물관과 함께 3대 기억기관으로 불린다. 다만 아카이브는 현실적인 제약 탓에 오프라인보다는 온라인에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 역할에 한정돼 있었다.
그러나 2007년 '공공기록물관리에 의한 법률'에 특별시를 포함한 17개 광역시·도에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치가 의무화되면서 법 제정 12년 만에 서울기록원이 개원하는 성과로 이어지는데, 이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기록에 대한 가치를 담은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됐다는 평가다.
대전은 충청권 최초 기록원 건립을 위한 첫발을 뗐다. 부지확보와 예산, 세부 업무 분장과 콘텐츠 등 수많은 현안이 기다리고 있지만, 기록원 건립에 대한 비전에 공감하고 있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진보다. 시는 대전형 뉴딜 100대 과제 중 하나로 대전시 디지털 기록원을 포함해 사실상 민선 7기 임기 내 착공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대전기록원 건립 초기 단계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주요 키워드를 건립 취지에 담지 못한다면 수백억의 예산을 쏟아부은 '문서창고'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은 새겨들어야 할 조언이다.
공공 기록관리기관의 선두주자 격인 서울기록원, 군 최초 8월 말 개관을 앞둔 증평기록관 관계자들은 기록원 건립을 위한 핵심요건으로 '민간 기록(시민기록)'에 방점을 찍었다.
서울기록원 김은실 기록정책과장은 "우리의 역사와 삶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적 기억을 만들어 내는 사건, 장소 인물과 관련된 기록을 찾고 수집하고 미래로 보내는 것이 공공 기억기관인 아카이브가 할 일"이라고 설명한다. 이어, "가치 있는 시정기록도 미래로 보내야 하는데, 시정기록은 서울시라는 공공기관이 무슨 일을 했는지 설명할 수 있지만, 서울의 다양한 변화와 관련한 총체적 기억까지 그대로 보여주지는 못한다. 그래서 시민의 기억과 기록도 같이 수집해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기록원의 건립 취지는 시민과 함께하는 문화기관이다. 이는 공공과 행정기록물에 국한되지 않고 시민기록 아카이브와 병행하겠다는 명확한 방향성을 보여준다.
서울기록원 건립도 순탄치 않았다. 막대한 예산을 확보하는 것도 난제였으나, 지방 아카이브의 필요성을 내외부적으로 설득하고 이해받기까지 약 7년의 기간이 소요됐다.
김은실 과장은 "법령에 적힌 명분만으로는 건립도 운영도 힘들다. 실제 기록원 준비 초창기 부지 선정과정에서 해당 지역 주민들이 '문서창고가 웬 말이냐'는 플랜카드를 붙이기도 했다"며 "의사 결정권자 설득도 중요했지만, 시민들이 아카이브 필요성을 공감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가장 어렵고 중요했다"고 덧붙였다.
서울기록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기록을 직접 수집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생적인 시민기록 활동(가)을 발굴·활성화하고 그 활동이 장기 지속될 수 있는 적극적인 연대와 협력 또한 핵심 과제로 추진 중이다.
[대전기록프로젝트]를 통해 반복적으로 제시됐던 민간, 시민기록 반영, 지속적인 활동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기록원 건립의 핵심 맥락으로 자리 잡아야만 기록원의 역할과 가치를 논할 수 있다는 명분이 다시 한번 증명된 셈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사진출처=내손안에서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