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 뱅크 |
끝도 없이 내리는 장맛비 탓에 식당 안은 눅눅했다. 휴일 점심시간의 식당은 한가로웠다. 낮게 가라앉은 잿빛 구름과 빗소리 때문인지 옆에 앉은 젊은 남녀의 목소리가 유난히 컸다. 그 건너편에선 중년의 여인들이 막 나온 음식을 앞에 놓고 손을 모아 기도를 했다. "하나님 아버지 저희를 굽어 살피시고…아버지께 청하오니 어서 빨리 이 폭우를 그치게 해주시고…." 그들의 간절한 기도에 무신론자인 나도 숟가락을 얹었다. 고등어 구이 두 마리와 순두부찌개가 식탁에 차려지자 허기가 몰려왔다. 소담하게 담긴 반찬들이 먹음직스러웠다. 매콤한 꽈리고추 무침과 오이무침, 새콤한 무생채 등 반찬 하나하나가 깔끔했다. 노릇노릇 구워진 고등어 한 점을 떼어 입에 넣었다. 지난날의 추억이 고소한 고등어와 함께 아릿하게 씹혔다. 한 세월이 화살처럼 빠르게 지나갔다. 설 익고 갈피를 잡을 수 없어 혼란스럽기만 했던 청춘의 시절, 여기서 팔뚝만한 삼치와 고등어구이를 참 많이도 먹었는데.
다시 아이로 돌아가고 있는 엄마는 밥상 앞에서 '안 먹는다'는 말이 입에 뱄다. 당최 음식이 아무 맛이 없다는 것이다. 먹성 좋던 엄마는 작년부터 입맛을 딱 잃었다. 그 날도 역시 배가 안 고프다며 손사래를 쳤다. 밥 먹을 때마다 식구들은 그런 엄마를 달래느라 진땀을 뺀다. "엄마, 이 고등어 먹어봐. 맛있어.", "순두부가 참 부드럽고 얼큰하네?" "아, 이 오이무침 상큼하다." 먹네, 안먹네 실랑이하던 엄마가 간신히 한 술 뜨면 우리는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지켜본다. 몇 숟갈 더 뜨면 식구들은 그제야 안도의 한숨을 쉰다. 생전의 아버지도 잘 드셨지만 엄마도 맛있는 걸 드실 때 '맛있다, 맛있다'를 연발하던 분이었다. 입맛을 잃으면 삶의 의욕이 꺾이는 법인데, 그런 엄마를 볼 때면 마음이 무거워진다. 아침에 언니가 미역국을 끓여 엄마 앞에 놓으며 "삼복더위에 막내딸 낳느라 죽다 살았는데 미역국 먹어야지"라며 권했지만 엄마는 한 모금도 못 드셨다.
아이를 낳아보지 않은 나로선 부모의 사랑을 다만 짐작할 뿐, 감히 헤아리진 못한다.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고 했던가. 어미는 몸 속의 영양분을 자식에게 아낌없이 내어 준다. 짐승도 그렇다. 새끼들에게 젖을 먹이는 동안 어미 개는 갈비뼈가 툭 불거지고 털이 뭉텅이로 빠진다. 나의 엄마는 자식들을 먹이기 위해 평생 몸이 부서져라 일했다. 유년시절, 칼바람이 몰아치는 한겨울이 되면 엄마는 고등어에 무를 숭덩숭덩 썰어 넣은 찌개를 한 냄비 끓이곤 했다. 고추장이 듬뿍 들어간 얼큰한 국물엔 고등어 기름이 동동 떴다. 무와 버무려 푹 익은 고등어 토막을 가난한 흥부네 자식들 같은 우리 형제들은 서로 먹겠다고 아귀다툼을 벌였다. 감칠맛 나는 국물이 밴 뜨거운 무를 호호 불며 밥에 얹어 먹는 맛도 꿀맛이었다. 그때 먹은 고등어찌개가 그리워 지금도 종종 끓여 먹지만 엄마의 손맛이 안 난다. 추억은 쌓이고 쓸쓸함도 더해간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