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장을 갖춰 입는 국회에서 짧은 원피스 차림은 부적절하다"는 의견과 "복장이 무슨 상관이나"며 구시대적인 시각이라는 반박의 목소리가 대립하며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의원의 이름은 포털사이트 실검 1, 2위에 오르내렸고 급기야 해당 원피스 완판녀로 등극하기에 이르렀다.
의원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세간의 복장 지적을 의식한 듯 "국회의 권위는 양복으로 세워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일하기 편한 옷을 입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소속 정당도 "성차별적인 편견을 담은 비난"이라며 비호에 나섰다.
알고보니 의원의 '원피스 등원'은 동료 의원들과 사전에 협의된 작은 이벤트 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란이 쉬이 가라앉지 않은 이유는 '왜 하필 지금이냐'는 시선이다.
코로나 장기화에 폭우 피해까지, 나라 안팎으로 우환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국회에서 '원피스 이벤트'를 벌였다는 사실은 생사를 오가고 생계가 캄캄해진 국민들의 입장에선 좋게 보일리 만무하다.
남성 중심 의복문화의 관행을 깨고 싶었다는 개인의 취지와 목적이 분명하다고 하더라도 불필요한 논란을 예상하면서까지 이 시기에 꼭 이벤트 욕심을 부려야만 했을까?
물론 그가 주장한 것처럼 형식보다 중요한 건 내용이다. 정장에 구두라는 관행을 벗어던지고 가벼운 옷차림으로 일에 집중해 몇배의 능률을 올렸다면 말이 달라질 수 있다.
사람들은 한 개인이 주장하는 사실의 옮고 그름보다 그 사람의 평판이나, 행동, 말을 전하는 태도로 신뢰 여부를 결정짓는다고 한다. 정당한 취지와 목표가 뒷받침 되려면 그 내면적 의미를 전달하는 과정 또한 합리적이어야만 한다.
장소와 상황에 맞는 격식을 갖춘다는 것은 법에 새겨져 있지 않더라도 사회 통념상의 예의로 받아들여진다. 더구나 정당이나 기관, 단체에 소속 돼 있는 사람이라면 개인을 넘어 그 단체의 대표성을 띠기 때문에 더욱 엄격한 대중의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본인만의 개성을 표현하고 싶었다면 머플러나, 구두 등 포인트를 주는 패션 소품을 활용하되, 입법기관에 대한 어느 정도의 격식을 갖춘 옷차림이었더라면 충분하지 않았을까. 물론 개성과 격식, 그 사이 적절한 타협점을 찾는 것은 개인의 센스에 달렸다. 일터에서 바지든 치마든 일하기 좋은 실용적인 옷차림을 싫어할만한 사람은 없지 않은가.
재기발랄한 20대 젊은 의원의 이번 이벤트가 '꼰대'냐, 아니냐의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 남성 중심의 복식 관행을 탈피하는 좋은 선례가 되길 바란다. "원피스 말고 일하는 모습을 봐달라"는 의원의 말처럼 옷차림 보단 결과물로 주목 받았으면 한다.
이은지 편집 2국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