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립예술단 발코니 콘서트 모습. 사진=대전시립예술단 공연사업지원국 |
온라인 생중계 등 자구책을 찾은 듯 보이지만 이는 공연 등 일부 분야에만 해당하는 임시 방편이기 때문이다. 예술계 전반을 아우르는 포용력 있는 정책, 예술인 스스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울타리를 만들자는 울림이 문화계에서 이어지고 있다.
또 현재까지 전통성 있게 유지돼 온 대전 예술 생태계가 해체되지 않도록 대전시와 대전교육청이 협업할 수 있는 조례 제정까지 거론되면서 문화계 전반의 체질개선이 강조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에 맞서는 문화계의 키워드는 능동적인 예술인과 예술시장 확대다.
대전시립예술단은 동구와 대덕구 지역에서 '발코니 콘서트'로 호응을 얻었다. 발코니 콘서트는 예술인들이 직접 아파트 단지로 찾아가는 공연으로, 관객을 기다리던 관습에서 벗어나 공연계의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준 단적인 예가 됐다.
발코니 콘서트를 기획한 손동철 대전시 문화예술과 주무관은 "자가 격리 중인 이탈리아와 스페인 사람들이 발코니에서 연주하던 모습을 봤다. 악기를 연주하고 듣는 사람은 몇 안 되지만 SNS를 통해 퍼져나가는 효과는 컸다"며 "이 모습을 보고 아이디어를 냈다"고 말했다.
조인상 대전국제음악제 음악감독은 "코로나 속에서 앞으로 적은 수의 관객과 만날 텐데, 재밌는 아이디어로 클래식을 소개하고 색다른 형태의 콘텐츠를 마련하는 등 예술인들도 적극적으로 바뀌어야 할 때"라고 강조한 것과 향후 발코니 콘서트의 지속 운영은 일맥상통하는 대안인 셈이다.
최근 대전시의회 정기현(유성3·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분 발언을 통해, 문화예술계 지원을 위한 학생 문화예술 관람비 지원을 주장했다. 코로나 속에서 경제적 어려움으로 예술인들이 업을 놓아버리면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정 의원은 "대전시만 책임지는 형태보다는 학생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 진흥하는 차원에서 대전교육청과 공동부담해 관람료 사업을 펼쳐나가면 좋겠다”며 “이는 자연히 생태계를 유지하는 수요를 발생하고, 예술인 또한 좋은 작품으로 화답할 수 있기에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다음 회기 때 관람료 지원 조례를 발의할 예정이다.
예술인들은 조금 더 구체적인 대안 마련에 목소리를 냈다.
이인복 대전소극장협회 대전지회장은 "단순한 예로 코로나가 확산돼도 어떤 기준에서 시나 정부가 예술인들을 지원해야 하는가 판단하기 어렵다. 우리 수익 자체가 얼만지를 가늠할 시장도 없거니와 세금을 산정할 제도도 없다. 12월부터 고용보험이 가입이 가능한데, 이를 적극 환영함과 동시에 예술계 스스로 직업에 대한 지표 산정 등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 위기는 단지 코로나 극복으로만 봐선 안 된다. 이번 위기를 기회 삼아 예술시장 확대는 공공에서 지원해주되, 예술인 안전장치는 스스로 만들어갈 수 있도록 제도 마련에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라영태 대전미술인협회장은 "미협은 현재 대전 지역에 사는 분들을 분류 작업을 하고 있다. 정부와 시가 지원하는 공공사업에 응모할 때 미술인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 구성"이라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