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동수 유성구의회 의원, 민동희 대전시 안전정책과장, 신천식 박사, 이정윤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 임상교 천주교대전교구 신부 |
이정윤 기계기술사는 "하나로 연구용원자로는 발전시설과 비교해 용량 차이일 뿐 온도, 압력이 낮은 차이가 있지만, 핵물질이 누출될 수 있는 부작용은 비슷하게 나타난다"며 "원자력연구소 앞에 전광판을 설치해 원자력 연구원 내의 핵폐기물이 어느 정도인지 실시간으로 시민들아게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5일 오후 '원자력 안전이 대전의 미래다'라는 주제로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는 천주교대전교구 임상교 신부, 이정윤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 김동수 유성구의회 의원, 민동희 대전시 안전정책과장이 패널로 참석했다.
원자로 내 핵종 분석 오류부터 세슘 누출까지 최근 3년간 70여 건의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대전에서 발생했다. 원자력연구원이 주거밀집지역에 있어 인근 주민의 안전을 위협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안전에 관한 접근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임상교 신부는 "내가 살고 싶은 곳에 다른 사람도 살 수 있도록 보존해야 한다"라며 "대전시는 원자력안전위원회 지적에 대해 객관적 검증을 토대로 한 사실관계를 시민에게 알려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정윤 기술사는 "극소량의 세슘도 물고기나 인체에 들어가면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라며 "방사능 오염수 저장 탱크 밑단을 뚫어놨다는 것 자체부터 문제가 심각하다. 인류 복지와 편의 도모가 연구목적의 본질인데, 피해물질만 쌓여 오히려 인간을 역공격하는 셈이 됐다"라고 강조했다.
김동수 의원은 "관할자치구인 유성구청 재난과에 원자로 관련 담당자는 단 한 명, 예산은 담당 공무원 인건비가 전부"라며 "항공측량이 어려워 연구원 내부 사정 등을 유성구조차도 파악하지 못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정부와 지자체 간 거버넌스 구축, 민간차원 감시자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민동희 과장은 "지난 4일 원안위 대전사무소가 신설됨에 따라 현장대응이 강화됐다"라며 "원자로 관련 법률상 지자체에 권한이 없다 보니 강제할 수 없고, 기술·전문적인 집단에서 벌어지는 안전상의 문제를 행정에서 짚어내기에는 현실적으로 무리다"라고 설명했다. 민 과장은 또 "민간전문가 주축의 감시센터를 만들어 효과적 통제를 도모하고, 원자력안전교부세 신설을 비롯한 원전 분야의 정부 지원을 끌어내기 위한 법제화에 힘쓸 것"이라고 피력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