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진행한 원격 수업으로 그동안 진행하던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꾸면서 빚어진 결과지만, 이 같은 학점 인플레로 성적장학금 폐지부터 취업시 변별력 감소까지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
5일 대전 대학가에 따르면 지난 학기 온라인 강의로 수업을 대체하면서 대다수 대학들은 기존 상대평가 대신 절대평가를 채택하면서 예년보다 학부생들에게 후한 점수를 준 것으로 드러났다.
충남대는 올해 1학기 전체 강좌에서 담당 교수가 A학점을 부여한 경우는 5만1829건으로 전체 9만9565건의 52.06%에 달했다. 지난해 1학기 A학점은 3만6354건, 전체 10만960건의 36.01%로 전년 대비 16.05% 상승한 것이다.
한밭대는 담당 교수가 비율 제한 없이 학점을 줄 수 있는 절대평가를 원칙으로 하면서 전체 재학생 8500명 중에 4.0 이상 성적을 기록한 학생은 3000여 명(35%)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학기 등록 학생 8100여 명 중 4.0 이상 학생은 675명으로 8.3%밖에 지나지 않았다. 직전 학기 대비 4.0 이상의 성적을 기록한 학생이 26.7%나 늘어난 셈이다. 대전대도 마찬가지로 올해 1학기 한해 절대평가를 도입해 4.0 이상 학생은 총 8600명 중에 3600명으로 42%에 달한다. 지난해 4.0 이상 학생은 17%로 25%나 늘어났다.
한남대·배재대·목원대 등 다른 대학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성적 인플레이션 현상이 심각한 모 대학의 어느 학과의 경우 소속 학생 절반 이상이 4.0 이상의 성적을 거뒀다고도 알려졌다.
학교 측은 정상 수업이 어려웠던 점을 고려한 데다 부정행위 방지 차원에서 절대평가를 도입했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당장 대학들이 변별력이 없어졌다는 이유로 전교생에게 등록금을 반환하고자 성적장학금을 축소하자 해당 학생들의 반발이 거세다. 2학기에도 코로나19 사태로 비슷한 평가 방식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면서 전반적으로 취업 시장에서 높이 매겨진 학점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대 한 학생은 "전반적으로 모두가 성적이 높아지면서 학점에 대한 의미가 퇴색되자 오히려 자체 시험의 난이도가 어려워졌다는 소문도 무성하고 어학연수나 사회경험 등 학교생활 외 준비를 해야될 것이 많아졌다"며 "대학생활 이외에 별도로 투입해야 하는 시간과 노력이 늘어난 셈으로 부담이 커졌다"고 토로했다. 전유진 기자 brightbb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