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이 1967년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1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 6년 전에 이미 계룡산에서는 세계적 공원화를 향한 염원이 있었다는 의미다. 어쩌면 국립공원이라는 개념이 정립되기도 전에 대전과 충남도민들은 계룡산을 가꾸고 보존해야 한다는 의식이 싹텄던 것인지 모른다.
본보 1968년 12월 지면에는 대전과 충남도민들의 계룡산 국립공원 추진 과정이 소개돼 있다. 1966년 6월부터 고 이웅렬 회장을 중심으로 추진위원회가 구성되고 그해 8월 충남도의 계획자료조사 후 보고서가 건설부에 제출됐다고 보도했다. 1967년 4월 계룡산국립공원지정계획서가 수립돼 충남도가 건설부에 지정건의서를 제출했다는 내용도 함께 게재된 것으로 보아 지역의 요구와 염원으로 국립공원 지정됐음을 짐작할 수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계룡산사무소가 2008년 국립공원 지정 40주년을 기념해 발행한 학술자료에는 1966년 추진위원회 회원의 회고록을 담았다.
유성구 주민이 회고 성격의 인터뷰를 통해, "10~15명의 추진위 회원이 있었고 중앙정부에 최대한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게 우리의 임무였다"고 소개했다.
계룡산국립공원추진위원회는 이 밖에도 해방 후 원조기관이었던 유솜(USOM-K)의 한국기술책임자 스미스를 찾아가 계룡산 개발에지원에 호소했고, 스미스 씨가 계룡산을 직접 답사하면서 국립공원 지정을 향한 세간의 관심을 높이기도 했다.
옛 본보 신문에 유솜의 스미스 씨와 건설부 관계자들이 계룡산 답사 후 정상에서 찍은 사진이 게재됐다.
지역사회에서 시작한 국립공원 지정 움직임은 국회 심의 단계에서 다시금 고통을 받는데, "크게 알려지지도 않았고 신흥종교집단이 많은 미신의 산"이라며 낮은 취급을 받은 것이다. 추진위는 이러한 인식에 굴복하지 않고 당시 계룡산의 국립공원 지정 여부를 심의하는 국회 회의장에 100여 장으로 된 슬라이드를 가져가 수동식 환등기에 넣어 의원들에게 보여주고 설득했다는 일화도 빠질 수 없다.
대전과 충남도민들이 땀과 노력으로 일군 국립공원 계룡산에 최근에는 고려시대 축조된 것으로 여겨지는 산성이 발견돼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계룡산 정상 해발 845m인 천황봉을 비롯해 쌀개봉, 관음봉, 문필봉, 연천봉과 그 남쪽의 계곡부에 걸쳐 총연장 5㎞에 달하는 규모다.
잔혹한 몽고군의 침략 때 주변의 백성들이 계룡산 깊은 곳으로 올라 난을 피하고 장기항쟁을 벌이는 곳으로 활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1994년 계룡산사무소 조성렬 씨에 의해 처음 발견돼 학계에도 보고되고 근래에는 지표조사까지 진행됐으나 충남도 지정문화조차도 지정되지 않고 있다.
계룡산의 소중함을 일찍이 깨달아 국립공원추진위를 구성했던 대전시민과 충남도민들이 500년 전의 계룡산성의 보존에도 다시금 의지를 모을 때다.
임병안 경제사회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