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일보 DB. |
과도한 상가 밀집과 공실 등으로 인한 상권 침체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비, 부동산업계에선 장대 B구역의 재개발 방향에 따라 유성시장, 5일장, 전체적인 상권 활성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면서 유성시장 5일장, 상권 활성화 방안의 기본은 상가를 더 늘리지 않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정비업계에 따르면, 장대 B 구역 재개발조합은 구역의 상업비율을 낮추는 촉진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촉진계획을 살펴보면, 장대 B 재개발 구역의 주거와 상업비율은 8:2로 계획돼 있다. 620%의 용적률로 따져봤을 때 10만 9090㎡가 비주거 시설이다. 이는 서울 코엑스(3만 6363㎡)의 3배에 달하는 수치다. 그만큼 상업시설이 늘어나 장대 B구역을 포함한 유성 전반에 '상가 포화상태'가 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물론 상가가 늘어나 지역 상권이 활기를 띤다면 바람직한 개발 방향이 되겠지만, 이미 이 주변 상권은 침체의 길을 걷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전국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2020년 2분기(6.30. 기준) 공실률 등 임대시장 동향을 조사한 결과, 대전지역 공실률은 오피스의 경우 14.0%, 중대형 상가는 13.0%, 소규모 상가는 6.3%로 조사돼 전국 평균보다 공실률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유성온천역 인근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16.3%로, 지역 소규모상가 공실률 평균 3배에 달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그만큼 유성온천역 인근 상권이 침체한 상태라는 뜻이다.
공실률이 높은 이유에 대한 여러 분석이 나오지만, 많은 상가를 이용할 인구 감소를 주요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지난 2018년 1월 리베라 호텔이 파업하면서 인근 상가들의 매출이 급감했고, 차츰 문을 닫기 시작했다. 인근 상점을 이용할 호텔 이용객 등 유동인구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라며 "이 여파로 인해 점차 범위가 넓어져 주변 지역 상권도 침체하기 시작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상권 활성화를 위해 인구 유입이 필요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최근 ‘유성 자이’ 등을 봐도 상가 공실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 상태에서 장대 B구역 등의 상업시설이 쏟아진다면 인근뿐 아니라 유성 전체 상권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건설, 정비, 부동산 업계에서는 유성 전체 상권, 유성시장 등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 거주자를 늘리고, 상가가 추가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인근 주거자들이 늘어나고 주변의 상업시설을 최소화해 시장 이용을 유도한다면 굳이 여러 방안을 쏟아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지역 상권이 활성화될 것이다. 주거비율을 높이고 상업비율을 낮추는 촉진계획 변경의 당위성이 커지는 이유기도 하다"고 말했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