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주환 대전시 상수도품질평가위원, 임봉수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신천식 박사, 송인록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장 |
임봉수 교수는 "정수장 내 활성탄이 개방형으로 노출된 상태라 표면에 유충이 알을 까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내성이 강해 염소 소독을 해도 사멸되지 않는다"라며 "고도정수시스템으로의 변환 이후 활성탄 여과지 세척 주기가 길어지면서 유충의 먹이가 되는 유기물들이 붙게 돼 오히려 서식지를 마련해준 셈이 됐다"라고 말했다.
29일 오후 '대전 수돗물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는 임봉수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김주환 대전시 상수도품질평가위원, 송인록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이 패널로 참석했다.
정수장의 활성탄 여과지 세척주기 단축과 관련해 임 교수는 "대전 정수장의 활성탄 역세척 주기는 기존 10일에서 6일로 당겼다"라며 "3일 미만으로 단축해 더 자주 씻는 게 현재의 고도정수시스템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일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인천 사태의 경우 성충이 들어와 알을 까서 발생한 사례"라며 "방충시설을 강화해 외부로부터의 유입을 철저히 막아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비상시 운영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메뉴얼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주환 의원은 "수돗물이 각 가정으로 흘러나간 이후라도 빠르게 문제점을 감지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라며 "정수장 인근 주민들의 즉각적인 반응에 대처할 수 있는 비상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인천 수돗물 유충 발견에 대전시는 지난달 17일 관내 송촌·월평·신탄진 정수장을 대상으로 긴급점검을 했다. 하지만 대전 수돗물에서도 유충이 나왔다는 신고가 접수되면서 대전시민들은 물 사용에 찝찝함과 불안을 느끼게 됐다. 송인록 본부장은 "지난 21일 서구 괴정동의 한 가정집에서 발견된 수돗물 유충은 국립생물자원관의 분석 결과, 하수구 등 외부에서 유입된 나방파리 유충인 것으로 확인됐다"라며 "최근 문제가 되는 깔따구 유충과는 경로나 유해성에 연관성이 없다"라고 설명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