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주환 대전시상수도 품질평가위원, 임봉수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신천식 박사, 송인록 대전시상수도사업본부장 |
최근 인천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돼 물 사용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 수돗물 사태는 서울과 경기, 부산으로 번졌고, 급기야 대전 수돗물에서도 유충이 발견되면서 시민들의 불안은 확산됐다. 다행히 대전을 비롯한 인천 이외 지역에서 나온 유충은 외부 원인으로 확인됐지만, 수돗물 이용에 대한 심리적 부담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에 '수돗물 유충'은 어떻게 유입되는지, 유해 정도와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편집자 주>
사회자 : 신천식 박사
토론자 : 김주환 대전시 상수도 품질평가위원, 임봉수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송인록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장
■사회자:인천 수돗물 사태와 관련 대전 상수도는 과연 안전한지 시민들은 궁금하다. 대전시 물, 먹어도 괜찮나?
▲송인록 본부장=대전에는 송촌·월평·신탄진정수장이 있다. 인천 사태 직후 여과지와 배수지에 대해 긴급점검을 완료했다. 송촌정수장의 경우 지난 17일에 허태정 대전시장이 직접 방문해 점검이 진행됐다.
■사회자:대전시에서 유충 발견 언론 보도에 대해 입장은?
▲송인록 본부장=지난 21일 서구 괴정동의 한 가정집에서 신고된 수돗물 유충은 국립생물자원관의 분석 결과 하수구 등 외부에서 유입된 나방파리 유충인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문제가 되는 '깔따구 유충'과는 경로나 유해성에 연관성이 없다.
■사회자:인천 상수도 유충 발견 사태와 관련 그 원인과 의미는?
▲임봉수 교수=정수장 내 활성탄이 개방형으로 노출된 상태라 표면에 유충이 알을 부화하는 때도 있는데, 염소 소독을 해도 내성이 강해 사멸되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이후 역세척 주기가 길어졌고, 먹이가 되는 유기물이 붙게 돼 오히려 벌레의 서식지를 제공한 셈이 됐다.
■사회자:문제가 되는 깔따구 유충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 정도는 어떠한가?
▲임봉수 교수=성충의 경우 모기와 비슷하다. 사람의 피부에 접촉했을 때 알레르기성 피부염, 호흡기에 들어가면 알레르기성 천식을 유발한다. 깔따구 유충이 기생충처럼 인체 내에서 증식하는 벌레는 아니지만, 물 사용에 있어서 찝찝하고 부담되는 건 사실이다.
■사회자:전국 435곳 중 정수장 3곳의 여과지에서 유충이 발견됐다는 기사가 나왔다. 대전에서의 발생 가능성에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인데, 어떻게 생각하나?
▲임봉수 교수=인천 사태의 경우 성충이 들어와 알을 까서 발생한 사례인데, 외부 방충시설이 완벽하지 않아서다. 이 때문에 대전 내 정수장도 외부 유입 차단에 신경을 써야 한다. 역세척 주기를 기존 10일에서 6일로 당겼는데, 역세척을 많이 하는 것이 지금의 정수 시스템에선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사회자:정수장 점검은 전문가 참여로 이뤄졌나?
▲송인록 본부장=금강유역환경청을 비롯해 수자원공사, 환경부 등 중복 점검을 했고, 우려할 만 한 사례는 없었다. 정수 시스템은 크게 표준정수와 고도정수로 나눈다. 오염물질 산화를 위한 오존 투입 단계를 거친 후에 활성탄 여과로 넘어가야 하는데, 인천의 경우 오존투입을 생략하면서 발생했다. 대전시는 오존투입을 추가해 유충 제로를 지향하고 있다.
■사회자:대전에서의 발생 가능성과 관련해 대비책은?
▲임봉수 교수=인천 사태와 관련 오존투입 생략과 더불어 활성탄 역세척이 주요인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대전도 인천과 같은 여과방식을 사용하므로 전반적인 관리체계를 다시 짚어야 한다. 첫째 오존과 활성탄이 있다 하더라도 유충 발생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방충망 등 차폐시설을 철저히 해 외부유입을 막아야 한다. 둘째는 역세척 주기를 당겨서 운영해야 한다.
▲김주환 의원=정수장 역시 대형 정수기다. 활성탄 여과 전 단계에 필터링 과정을 추가한다면 더 효과적일 것이다. 특히 비상시 운영관리 메뉴얼을 보완한 예측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각 가정으로 사방팔방 흘러나가기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정수장 인근 주민들의 즉각적인 반응에 대처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사회자:전문가로서 느끼는 대전 상수도의 문제점은?
▲임봉수 교수=고도정수처리 과정을 도입한 만큼 유지관리에 전문 인력을 충원해야 한다. 품질관리의 ISO 인증처럼 고품질의 상수도 경영시스템을 도입해야 시민들에게 신뢰받는 상수도사업본부가 될 것이다.
▲김주환 의원=관련한 여러 의견에 대해 피드백이 실천돼야 한다. 결국, 행정 실행력이 관건인데, 비용 발생을 두려워하지 말고, 4차산업 시스템을 접목해 정수장 내 세심한 파악이 필요하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