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이 정해놓은 바가 없는 것을 포함하여 누구나 나름의 철학과 소신, 지향점이 있다. 작가도 마찬가지다. 선승이 화두로 선에 드는 것과 같다고나 할까. 무념도 하나의 의도이다. 생각 없이 창작 할 수야 없는 일이요, 생각 없는 생이 있겠는가?
한국도로공사가 경부고속도로 준공 50주년 기념비를 추풍령휴게소 내에 세우고 지난 6월 30일 제막식을 가졌다. 기념비를 자신이 세웠다고 해서인지 명패석에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도 새겨 넣은 모양이다. 정작 고속도로를 기획하고 건설을 주도한 사람 이름은 빠져있다 논란이 일었다. 이어 반복적으로 장관이름이 훼손되었다는 보도를 접하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건설당시 건설 주체가 건설부였기 때문에 기념비 건립 주체가 현 국토교통부가 될 수밖에 없다는 해명이다. 문제 삼는 측은 건설에 기여 한바가 전혀 없는 사람 이름을 새긴 것이 못마땅하다는 것 아니겠는가?
인사유명((人死留名)을 돌아보게 된다. 여행을 하다보면 명승지 암벽에 새겨진 수도 없는 이름을 접하게 된다. 새긴 본인은 뿌듯할지 모르나, 누가 거들떠 보기나 하는가?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다. 특정시기에 그 자리에 있어 이름이 새겨지는 것이야 어찌 할까 만은 인위적으로 자신을 기념하는 일은 낯부끄럽지 아니 한가? 쌓은 공덕은 후대 사람이 기려야 마땅하지 않은가? 그럼에도 잘 차려진 밥상에 숟가락 얹기를 주저하지 않고, 나아가 스스로 자신을 칭송하는 기념비를 세우니 소가 웃을 일 아닌가? 스스로 새기는 이름이 부끄럽지 아니한가? 허명을 새기려 애쓰기보다 아름다운 삶을 가꾸는 것이 우선 아닐까?
생육신(生六臣)은 수양대군이 조선 제6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평생 벼슬하지 않고 절의를 지킨 김시습(金時習)·원호(元昊)·이맹전(李孟專)·조려(趙旅)·성담수(成聃壽)·남효온(南孝溫)을 말한다. 그 중에 김시습(金時習, 1435 ~ 1493)의 생활 단면을 살피고자 한다.
김시습은 서울 성균관 부근에서 아버지 김일성(金日省)과 어머니 울진 선사 장씨(仙?張氏)사이에서 태어나, 3살 때부터 외조부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한다. 5세 때 이미 한시를 지어 신동으로 소문난다. 당시 국왕인 세종이 알고 그를 불러 시험해 보고 큰 재목이 될 것을 알고 열심히 공부하라하며 선물 까지 내렸다 한다. 비단 50필을 선사하고 혼자 힘으로 가져가라 하니, 김시습은 문무백관이 보는 앞에서 비단 끝을 하나하나 묶어 끌고 갔다 한다. 이로 인하여 '5세'라는 별호를 얻게 되는데 부여 외산면 무량사 부도군에 있는 그의 부도비에도 '오세김시습지묘'라 새겨 놓았다.
1455년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3일간 통곡하였다. 보던 책을 모두 불사르고 스스로 머리를 깎았다. 이후 전국 각지를 유랑하였다. 단종복위운동으로 죽은 사육신의 시신을 수습하여 노량진 길가 남쪽 언덕에 묻어주었다고 전하기도 한다. ≪연려실기술≫
절의 뿐 아니다. 애민정신도 대단했으며, 유랑 중 만나는 모든 대상을 절절한 사랑으로 대했다. 그를 모두 시로 남겼다. 자신의 모든 것을 시로 남긴 유일무이한 시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장으로 경국에 이바지 한 것이다.
2200여수에 달하는 한시를 비롯 수많은 저술을 남긴다. ≪금오신화≫와 몇 편의 한시는 읽었으나 그의 학문세계나 문학세계를 논하기에는 견식이 너무 일천하다. 다만, 부분으로도 성리학과 불교 등 학식이 대단히 깊고 넓음을 느끼게 한다. 높고 오묘하다.
진솔하고 뜨거운 사랑 덕에 수많은 후대인이 그를 기린다. 곳곳에 그의 시비가 세워져 있다. 전국 경향각지를 여행하다보면 수시로 그를 만날 수 있다. 부여 외산 무량사를 비롯 노원구 중계동, 청주 상당산성, 강원도 인제군 북면 백담사, 경기도 양평 용문산 시비공원, 보령 개화공원, 문경새재, 강릉 매월당 김시습 기념관, 팔공산, 전남 광양 다압면 도사리 청매실농원 등에 시비가 있다. 시비 뿐 아니다. 관련 일화들이 여기저기 나타나 나그네를 맞이한다. 저마다 기쁜 마음으로 일으켜, 죽은 김시습이 살아나는 것이다.
시 한 수 감상하자. 김시습기념관에 새긴 '매월당 유필시'다. "바랑 하나에 생애를 걸고 / 인연 따라 세상을 살아가오 / 삿갓은 오직 하늘의 눈으로 무겁고 / 신발은 초나라 땅의 꽃으로 향기롭소 / 이 산 어디에나 절이 있을 터이니 / 어디인들 내 집이 아니겠느냐 / 다른 해 선실을 찾을 때에 / 어찌 참선의 길이 험하다고 탓하겠느냐 (一鉢卽生涯 隨緣度歲華 笠重吳天雪 鞋香楚地花 是山皆有寺 何處不爲家 他年訪禪室 寧禪路岐?"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