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왕규 동양학박사 |
삼복(三伏)이란 명리학에서 말하는 24절기 중 하지와 입추를 기준으로 소서와 처서의 사이에서 정해진다. 즉 하지 후 세 번째 경일이 초복이고, 네 번째 경일이 중복이 된다. 또 입추 후 첫 번째 경일이 말복이 된다. 올해의 경우 지난 16일(경신일)이 초복, 26일(경오일)이 중복날, 내달 15일(경인일)이 말복날이 된다.
복날은 보통 10일 간격으로 온다. 그러나 올해와 같이 중복부터 말복까지가 10일이 아닌 20일이나 걸리는 경우 이를 특히 월복(越伏)이라고 부른다. '삼복'은 명리학의 10천간 중 일곱 번째인 세 개의 경일에 해당하므로 '삼경일(三庚日)'이라고도 부른다. 삼복(三伏)이란 '세 번 엎드린다'는 뜻이다.
이를 명리학의 음양오행으로 설명하면 삼복날은 '장차 왕성하려고 하는 가을의 음기(金)가 삼복날 무더운 여름의 강렬한 양기(火)에 억눌려 엎드려 있는 날'이라는 뜻이다. 즉 가을의 서늘한 쇠(金)의 음기가 대지로 내려오다가 삼복날 여름철의 더운 불(火)의 양기가 강렬하므로 일어서지 못하고 극을 당하여 엎드려 굴복한다는 의미가 내포돼 있는 것이다.
즉 오행으로 여름은 불(火)이고 가을은 쇠(金)이므로 '여름 불(火)의 기운에 가을 쇠(金) 기운이 세 번 굴복한다'는 뜻으로 '굴복할 복(伏)'자를 써서 '삼복'이라 일컫는다. 명리학에서는 불(火)은 쇠(金)를 이긴다는 의미로 '화극금(火剋金)'이라고 한다.
중국 진나라 덕공 2년(기원전 676년)에 복날 제사를 지내는 사당을 세우고 4대 문에서 개를 제물로 바쳐 충재(蟲災)를 예방했다는 '사기' 등 옛 문헌의 고사에 비춰볼 때 진나라 때부터 지금까지도 삼복 무더위를 이기려고 보신탕, 삼계탕, 수박, 참외 등 보양식을 먹는 풍속과 상호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동국세시기'등에 의하면 "개장국을 먹으면서 땀을 내면 더위를 물리쳐 허약한 기운을 보충할 수 있다"고 하면서 보양식임을 밝히고 있다. 이를 명리학적으로 살펴보면 매우 흥미로운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여름철 삼복날에는 불(火)의 기운이 매우 왕성해 쇠(金)를 극하므로 인해 쇠(金)의 기운이 약해지므로 허약해진 금기(金氣)를 보충하기 위해 보신탕의 주재료인 개에 해당하는 지지 술(戌)은 계절로 늦가을에 해당하므로 금기보충에 적합한 음식이 된다.
또 삼계탕의 주원료인 닭에 해당하는 지지 유(酉)는 계절로 한가을에 해당하므로 삼계탕 또한 금기 보충에 매우 적합한 보양식이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수박, 참외 등 과일을 먹는 것은 상대적으로 수분이 많은 과일로서 삼복 무더위(火)를 이겨내기 위해 오행으로 물(水) 즉, 수분 보충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과일인 것이다.
또 복날과 벼농사와 연관해 우리나라 여수지역에서 전해오는 말은 매우 의미가 있다. '초복 날이면 벼가 한 살을 먹고 중복 날이면 벼가 두 살을 먹는다. 말복날이면 벼가 세 살을 먹는다'는 말이 그것이다. 이는 무더운 초복, 중복을 거쳐 벼가 서서히 단단하게 여물어가면서 드디어 말복이 지나면 본격적으로 벼를 추수할 준비를 할 정도로 벼가 거의 완전하게 숙성하게 된다는 데서 유래한 말인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삼복'은 명리학의 24절기인 하지와 입추를 기준으로 생성된 중국 진나라 때부터 유래된 전통 절일로서 현재까지 삼복 보양식으로 이어지고 있는 보신탕, 삼계탕이나 수박, 참외 등 과일을 먹는 풍속은 무더운 여름철 삼복날 상대적으로 허약해진 오행 중 금기와 수기 등 원기보충을 통한 균형 유지와 무더위 극복을 위해 명리학 음양오행사상에 근거한 옛 선인들의 생활지혜의 한방편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최왕규 동양학 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