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내가 운동하는 진짜 이유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내가 운동하는 진짜 이유

  • 승인 2020-07-22 10:41
  • 수정 2020-07-22 11:13
  • 신문게재 2020-07-23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250601232
게티이미지 제공
먹는 걸 무지하게 밝히는 나는 어릴 적 전쟁 나면 하꼬방으로 달려가겠다고 맘먹곤 했다. 마을 어귀에 있는 하꼬방은 친구 할머니가 하는 거였는데 조악하기 이를 데 없었다. 선반엔 과자, 캐러멜, 눈깔사탕 몇 봉지가 먼지를 뒤집어 쓴 채 놓여 있었다. 친구 할머니는 막걸리도 팔았다. 해질 무렵엔 으레 동네 술주정뱅이 아저씨 몇 명이 둘러 앉아 막걸리 잔을 부딪쳤다. 나와 친구들은 들고양이처럼 들판을 쏘다니며 놀다 배고프면 하꼬방으로 갔다. 우리는 목을 빼고 유리창 너머 캐러멜과 눈깔사탕을 하염없이 바라보며 군침을 흘렸다. 그러면 친구 할머니는 파리 쫓듯 팔을 휘저으며 우리를 몰아냈다. '전쟁만 나면….'

어른이 돼도 식탐은 여전했다. 나의 관심은 늘 위장에 집중되어 있다. 뭘 먹을까, 뭐 맛있는 거 없나? 9년 전쯤이다. 당시 안희정 충남지사가 여기자들을 대흥동 도지사 관사에 초대했다. 지금은 슬기로운 감빵생활에 충실하고 있지만 그때 안희정은 '연예인 오빠'였다. 대권을 바라보는 차밍한 정치인이었으니까 말이다. 5월의 어느 날 도지사 관사는 여기자들로 성황을 이뤘다. 나는 아름드리 나무가 무성한 고색창연한 도지사 관사가 더 궁금했다. 점심은 눈부신 햇살 아래 야외 뷔페로 차려져 있었다. 와우! 여기자들은 잘생기고 말빨 좋은 도지사에게 넋이 빠져 아이 컨택 하기 바빴다. 나는 진한 버섯 수프와 온갖 샐러드, 부드럽고 고소한 빵에 홀딱 반해 접시 나르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런데 네 접시밖에 못 먹었다. 옷을 딱 붙게 입어 부른 배를 감출 수 없었기 때문이다.

퇴근하면 집 옆 공원에서 운동한다. 100m를 15초에 달리는 날쌘돌이에 비하면 어림없지만 한 시간 정도 빠르게 걷는다. 요즘 같은 저녁에는 동네 사람과 개들이 다 모여든다. 평상에 앉아 부채 부치며 두런두런 얘기꽃을 피우는 할머니들, 친구들과 반갑게 인사하며 냄새 맡는 귀여운 강아지들, 운동기구와 씨름하는 중·노년의 남녀들. 재미난 건 젊으나 늙으나 살 얘기가 빠지지 않는다는 거다. "아이구, 난 4키로나 쪘어. 언제 뺀댜.", "난 어제 저녁 삼겹살 먹고 잤더니 2키로가 늘었지 뭐야."

예전엔 후덕한 몸집이 미덕이었다. 못 먹던 시절 얘기다. 지금은 노인들도 몸에 관심이 많다. 매일 사우나에 들락거리면서 체중계에 올라 눈금을 확인하는 이유가 달리 있겠는가. 열나게 땀 빼고 갈증난다며 달디 단 박카스 하나씩 쭈욱 들이켜며 살과의 전쟁을 벌이는 여인들의 노력이 눈물겨울 정도다. 나의 노년은 어떤 모습일까. 언젠가 청바지에 검은색 터틀넥을 입은 배우 윤여정을 보며 나도 저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나이 일흔에 청바지라니, 시크하고 멋졌다. 영화 '돈의 맛' 베드신에서 보인 배는 어떻고. 맙소사! 뱃살이 하나도 없으면서 팽팽했다. 60 중반에 어떻게 저럴 수 있는지 충격적이었다.



사실 나이 들면서 뱃살이 꿀렁거리는 배둘레햄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허릿살이 비어져 나오고 배가 두둑해지는 몸의 형태는 자연의 섭리란 말씀이다. 그렇지만 이런 몸을 원하지 않는 것도 인지상정이다. 고백하건대, 내가 운동하는 진짜 이유는 밥을 많이, 맛있게 먹기 위해서다. 가쁜 숨을 몰아쉬며 계룡산 정상에 올라 계란말이에 오이소박이로 도시락 먹는 그 맛을 뭣에 비할까. 땀띠나게 걸은 후 우유에 바나나 두세개 넣어 갈아마시고 참치김치찌개 끓여 밥 한 공기 뚝딱. 그리고 수박 한 대접. 이놈의 식욕은 줄어들 줄 모른다. 마르타 힐러스는 『함락된 도시의 여자』에서 "모든 생각, 느낌, 소망, 기대가 먹는 데서 시작된다"고 했다. 엊그제 지인이 부산어묵을 택배로 보냈다. 한 여름의 저녁, 매콤한 청양고추를 넣고 어묵국 한 냄비 끓여 밥과 함께 먹었다. 배둘레햄? 올테면 오라지.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