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지자체에 비해 지자체와 대학과의 협력 체계가 부족한데다 정치권의 관심 부족 우려가 제기되면서 결국 탈락은 예견된 사태였다는 지적이다.
지역 대학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지역 대학들과 지자체 간 유기적인 협력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16일 경남, 충북, 광주·전남 지역혁신 플랫폼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지원대상으로 최종 선정했다.
지역 21개 대학들과 지자체가 함께 참여한 대전, 세종, 충남은 당초 이번 사업에 도전하면서 지역에서 처음 이번 지역혁신플랫폼의 필요성을 제기해 추진됐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추진되는 이번 사업이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인 세종시가 참여한다는 점에서 선정에 무게를 뒀다.
하지만 사업 추진기간 동안 지자체들의 소극적인 참여와 정치권의 관심 부족이 계속되면서 전망이 어둡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
실제로 사업 계획이 공고되기 전부터 대구·경북은 '휴스타(HuStar) 혁신대학사업'을 추진했고 경남은 자치단체장이 '지방정부-대학 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 워킹그룹 회의'를 열었다.
사업 기간 내내 정치권의 물밑 움직임도 감지됐다. 사업계획서 접수가 타 지역의 요청으로 한 달 간 연장되면서 유력 정치인의 정치적 연고 특혜의혹이 나오는가 하면 현 정부 출신 인사들이 접촉설이 끊이질 않았다. 대전·세종·충남 지역 국회의원들도 참여대학 총장들과 조찬회를 가졌지만 실사가 끝난 이후였으며 참석률이 70%라 아쉬움이 남았다.
지역 대학가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지자체 내 대학 전담부서를 설치하는 등 대학과 지자체 간 협력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학가에선 충청권 소재 대학들이 60여 개로 타 지역보다 많은데도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나 소통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지역인재 육성이라는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대학가와 지자체, 지역 국회의원들과의 만남도 정례화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지역대 관계자는 "대학이나 청년에 투자하는 일은 가시적 성과가 임기 안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간 도외시된 것이 사실"이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방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자체나 정치권 차원의 관심과 투자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전유진 기자 brightbby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