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식 한국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장 |
올해 모내기 전의 충청남도 내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은 90%를 넘어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한 수준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불과 3년 전만 하더라도 저수율이 20% 내외를 오가며 비가 오지 않아 논과 밭이 타들어가고 하늘만 바라보며 시름하고 힘들어 하던 농업인들이 있었다.
더구나 이러한 가뭄이 일정주기로 반복되고 연례화되고 있다는 것은 각종 경험이나 조사를 통해서도 나타나고 있다.최근 기후 변화를 보면 가뭄의 발생빈도는 2000년 이전(1904~2000년) 연평균 0.36회에서 2000년 이후(2001~2019년) 연평균 0.65회로 2배 가까이 증가하였고, 가뭄발생 기간도 중부지역의 경우 연평균 보통 가뭄일수가 1970년대 13일에서 2010년 이후 48일로 3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다.
이처럼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굳이 수치적으로 논하지 않더라도 최근 우리지역에서 발생한 2012, 2015~2017년의 가뭄을 잊어서는 안 되며 평소 준비가 철저하면 후에 근심이 없다는 유비무환의 정신으로 반복되는 농업가뭄을 대비해야 할 때이다.
가뭄을 준비하는 방법에는 단기, 장기적인 대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단기 대책으로는 부족한 저수지의 저수량을 인근의 하천에서 양수저류를 통해 사전에 확보하는 방법과 사용 가능한 저수용량을 사전에 알리고 시기를 정해 급수하는 급수예고제 등을 통해 농업인들도 최대한 물을 절약하여 농사를 짓도록 홍보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외에도 노후화되어 취약한 수리시설을 현대화 하거나 저수지의 퇴적된 구간을 준설하여 추가적인 저수용량을 확보하는 방법이 있다.
장기적으로는 유역 내에 저수지나 양수장을 설치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항구적인 가뭄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비교적 수자원이 풍부한 유역에서 가뭄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용수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이용체계재편이라는 사업을 추진해야한다. 충남은 아산호-삽교호-대호호를 잇는 수계연결을 통해 아산호의 물을 가져와 물이 부족한 삽교, 대호호에 보충 급수하여 농업용수 해갈을 위한 용수이용체계재편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이외에도 가뭄으로 어려웠던 아산과 천안북부지역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신규 용수원을 찾고 있으며 그 밖의 가뭄으로 피해를 봤던 서천 판교 등의 지역에서도 농업인들의 목마름 해결을 위해 다방면으로 관련 기관들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한 번에 모든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있다.
직접적인 농업용수를 쓰는 농업인들 뿐 아니라 국민 모두가 이런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힘을 모아주어야만 수월하게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물론 이러한 사업들이 다 완공된다고 해도 모든 농업인들이 만족할 만큼 맘 편하게 농사를 지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새로운 수자원을 확보하면서 주어진 수자원을 아끼고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향후 가뭄이 발생하더라도 예전보다 쉽게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이 마르다고 샘을 파기 시작한다면 너무 미련한 사람이 될 수밖에 없다. 우리 모두 미리미리 준비하여 목이 마를 때 맑은 샘물을 마실 수 있어야 한다. 물의 미래를 준비해 풍부하고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고 우리의 후손에게 물려주는 가장 큰 선물이 될 것이다. 안중식 한국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