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지역 철강업체는 대기업이라 수많은 복지를 자랑하지만 젊은 직원들은 무엇보다 지방 근무를 시키더라도 수도권으로 매주 실어나르고 데려오는 것을 가장 좋은 정책 중 하나로 손꼽는다고 한다. 이 기업은 신입 사원들이 광양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이런 버스를 도입했다고 한다. 이번 주말도 수많은 젊은 직원들은 회사 근처에서 한잔하며 '불금'을 보내기보단 상경을 택했을 것이다.
저 멀리 전라도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충청도에서도 흔히 벌어지는 일이다. 대전, 세종 공무원, 공기업 직원들도 마찬가지로 금요일 저녁이면 기차나 버스, 자가용을 타고 서울로 향한다. 평일에는 지방에서 근무하고 주말이면 서울 시민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 문화, 경제, 정치 등 어느 방면에서 보아도 서울은 명실상부한 우리나라의 중심인 탓이다. 행정수도를 표방한 세종시가 탄생했다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서울에 대다수 명문대가 자리 잡고 있고 일자리가 많아 수많은 지방 청년들은 집을 떠나 홀로 서울살이를 택한다.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인한 지방 위기 가속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지역에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젊은 세대들의 정착을 유도해야 한다는 것엔 이견이 없다. 며칠 전 대전시가 혁신도시 지정을 신청하면서 공공기관 이전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일이 대표적이다. 문제는 지역에서 양질의 일자리가 생겨도 지역에 안착하려는 청년 대신 언제든 서울로 되돌아가려는 서울 출신들이 고용될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지역인재 채용을 의무화해 일부 지역 청년들이 혜택은 받겠지만 효과는 미미할 것이다.
해법은 '투 트랙' 전략으로 지역대학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교통 인프라를 더욱 확충해야 한다고 본다. 청년들은 차가 없으면 생활하기가 불편한 걸 작은 지방에 살면서 가장 답답한 일로 꼽는다. 대전이 서울 사람들에게 상대적으로 사랑받는(?) 것도 바로 KTX를 타면 1시간 만에 올 수 있다는 점이 크다. 지역 안팎으로 대중교통 체계를 촘촘히 연결해 대전·세종·충남이라면 언제 어디든 갈 수 있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여기에 지자체가 지역 인재들이 서울 대신 지역 대학으로 진학하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해야 한다.
그러나 유성복합터미널이 오랜 기간 좌초 위기에 빠져 있고 대전 도시철도 2호선인 트램 건설사업 예산이 줄어들었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선정도 대전·세종·충남 대학들이 고배를 마셨다. 알아주지 않는 정부는 물론이고 조용한 정치권, 소극적인 지자체 모두 답답할 뿐이다. 먹고 살 만한 지역으로 만드는 일이 이토록 뒷전일까. 전유진 교육과학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