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특별상은 '대전미술의 현주소'라는 정체성을 보여준다. 5전시실 리모델링 이후 처음으로 기획된 전시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로 대전시립미술관은 이달 27일까지 휴관이다. 이에 독자들의 아쉬운 마음을 달래고자 박정선 작가와 윤경림 작가의 인터뷰를 담는다. <편집자 주>
윤경림 작가 |
Le Cube_윤경림 |
윤경림 작가의 예술세계는 한마디로 압축하자면 '반복'이다. 그러나 이 반복은 큐브 속에서 진화하고 창조돼 확고한 윤경림의 큐비즘으로 귀결된다.
윤 작가는 "큐비즘은 19세기 피카소가 이끈 새로운 혁명같은 미술운동이다. 큐브로 그림을 그렸기 때문에 큐비즘이라 한다"며 "표현주의 작가들 사이에서 피카소는 면을 쪼개서 큐브 형태로 그림을 그렸다. 원근감을 미술의 진수라 불렸던 그 당시 하나의 면을 쪼개서 그리는 것은 상상할 수 없었던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저는 큐브로 모든 회화를 만들어가는 도전을 하고 있다. 큐브 모양으로 여러 모양을 만들기도 하고, 라인과 선을 통해 평면에서 입체감을 구성한다. 이는 표현주의 기법에서 큐비스트들이 새로운 운동을 펼친 것과 같다. 모든 것을 창조해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여러 형상을 꿈꿀 수 있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윤경림 작가의 큐브는 중첩의 회화다. 얹고 얹어서 하나의 면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 회화라면, 윤 작가는 평면 회화에서 입체감과 공간감을 보여주고 싶다는 꿈을 꾸고 있다.
윤 작가에게 있어 큐브는 운명적인 만남이었다. 첫 회화를 시작할 때부터 공간성에 이끌렸다. 도시에서 평생을 산 작가에게 모든 공간과 환경은 큐브로 다가올 수밖에 없었다.
큐브는 12개의 선으로 이뤄진 정육면체다. 평면과 입체가 교차하는 큐브라는 공간을 작가는 모든 생명의 시작으로 봤다. 큐브에서 피어나는 꽃, 큐브로 연결되는 우주, 연속성 있게 번져가는 선의 고리에서 생명력까지 표현하고 있다.
윤 작가는 이번 특별전에서 서양과 동양의 조화를 절묘하게 융합했다. 얼핏 단청 같기도 하고, 한복의 조각보를 보는 듯 색감과 구성면에서 통일성을 보여주고 있다.
윤 작가는 '큐브'라는 예술적 뮤즈를 만났지만, 이미지로만 전달하는 회화 작업에 한계를 느낀 때도 있었다.
작가는 "누군가는 풍경을 그리거나 꽃을 그리라고 한다. 왜 네모를 가지고 그림을 그리느냐 질문을 받기도 한다. 나는 큐브로 꽃을 만들기도 하고 하트도 만드는데, 이게 이미지로 전달이 어려운 것 같다. 그런 작업들이 이어져 어렵구나 하는 생각을 할 때쯤 이동훈미술상 특별상 수상 소식을 듣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 이게 가치가 있는 일이구나 생각이 들면서 굉장한 원동력이 됐다. 특별상 수상으로 작가는 작업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는 것을 느끼게 됐다"고 설명했다.
윤경림 작가의 큐브는 계속 확장되는 큐브의 세계를 보여준다. 회화에만 머물던 작가는 최근 설치미술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특별전 전시장 천장에는 윤 작가의 큐브모빌이 설치돼 있다. 모빌은 평면이지만 허공에 설치하면 입체적으로 보인다. 바닥에 그림자로 볼 때도 시각적인 경험이 가능하다.
윤 작가는 "중도일보 독자들도 큐브의 새로운 세계에서 새로운 꿈을 가졌으면 좋겠다. 유희적인 맛도 있기 때문에 잠시 들려 큐브의 세계에서 각자의 꿈을 키워봤으면 한다. 큐브는 모든 것이 될 수 있는 존재로, 그림 속에서나마 모든 꿈을 꿀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