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미 차장 |
영화는 메리 스튜어트가 프랑수와 2세와 사별 후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자신의 왕권을 지키기 위한 일생을 그린다. 이 과정에서 사촌이지만 사실상 계승서열이 낮은 엘리자베스 1세와 편지로 주고받는 신경전, 서로의 미모와 패기 그리고 견고한 권력을 탐하는 대결 구도는 극 후반까지 팽팽하게 유지된다. 물론 결국 비운의 여왕으로 메리 스튜어트는 엘리자베스의 1세에 의해 참수당한다.
당시 중세유럽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왕은 여자였다. 참정권조차 없던 여자들이 왕가의 핏줄이라는 단 하나의 이유로 왕의 자리에 올랐다. 반대로 그들을 보좌하고 나라의 존망을 움켜쥔 대신들은 전부 남자다.
메리와 엘리자베스 1세의 신경전이 고조될수록 신하들은 종종 이런 이야기를 나누며 공감한다. "멀쩡한 남자들이 여자들 변덕스러움에 놀아나는 꼴이라니!"
물론 이 영화에는 가톨릭과 개신교를 둘러싼 중세 유럽의 다툼도 있고, 권력과 정치에 대한 인간의 탐욕도 있다. 그런데 예상치 못한 몇몇 장면에서 남자 대신들은 자신들의 여왕을 향해 변덕스러운 여자들이라고 힐난한다.
사촌 메리를 참수한다는 서명 후 아무도 모르게 뜨거운 눈물을 흘리던 엘리자베스 1세의 진짜 마음은 알지도 못하면서… 모두에게 배신당해도 가문을 지키고 내 자식을 지키려던 메리의 삶의 무게를 가늠해본 적 없으면서 '변덕스러운 여자'라고?
구구절절 영화 이야기를 늘어놨지만, "중세유럽이니까 그땐 그랬어"라고 그냥 스쳐 가기엔 그때나 지금이나 서로를 이해하려는 얄팍한 시선은 별반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제1세대 페미니즘 운동은 참정권을 갖기 위해서였고,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는 보부아르의 '제2의 성'을 기반으로 2세대 페니미즘은 '평등'을 외쳤다. 그리고 3세대 페미니즘은 백인 여성의 전유물이라는 비판 속에서 성소수자 권리 운동으로 번져왔다. 페미니즘의 역사를 보니 그 뿌리는 한결같은 여성권리 신장이다.
영화 속 많은 대사와 스토리 가운데 유난히 변덕스러운 여자라는 대사에 꽂힌 건, 아마도 내가 살고 있는 환경이 중세유럽이나 지금이나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은 아닐까하고 반문해 본다.
지위도 있고 해결해야 할 일은 두 손 가득 쥐어 줬으나, 해낼 수 없을 거라는 부정적인 시선이 나를 휘감고 지나간다. 쟤는 변덕스럽고 예민해서 큰일은 못할 거야 라는 편협한 시선도 나를 마구 짓누른다. 어쩌면 이 글은 내가 나를 향해 내리는 일종의 판결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무소의 뿔처럼 가라, 대신 동료들의 손을 잡고.
이해미 경제사회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