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수 충남대 교학부총장 |
대덕연구단지는 서울에 있던 연구소를 한 장소에 모아 놓은 단순한 연구학원도시(硏究學園都市)로 출발했다.
그러나 1997년 외환 위기를 맞으면서 실업자를 구제하고 국가경제를 회복하는 첩경이 벤처기업의 창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었으므로 김대중대통령은 2000년 대덕연구단지를 미국의 실리콘밸리처럼 만들 것을 희망하면서 '대덕밸리'로 명명·선포했다.
그리하여 대전시는 대덕연구단지를 단순한 연구학원도시가 아니라 각종 기술을 개발해 기업에게 이전하거나, 기술을 상업화하여 창업하는 과학기술도시(science town)를 만들고자 무척 노력했다.
과학기술도시는 단계적으로 발전한다. 처음에는 기반형성단계로, 다음에는 도약단계로, 그다음에 성숙단계에 이른다. 성공적인 과학기술도시는 짧게는 10년, 길게는 20년 정도 걸려 성숙단계로 진입한다.
성공적인 과학기술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인력, 기술, 재원, 노하우, 국제적 네트워크가 뒷바퀴로, 대학·연구소, 지방자치단체, 중앙정부, 창업중소기업, 지지집단, 대기업이나 주도기업이 앞바퀴로 자전거 바퀴살처럼 촘촘히 묶이고 맞물려 굴러가야 한다.
그러나 대전 과학기술도시는 대기업이나 주도기업으로 구성되는 바큇살 한쪽이 없어 움직이지 못하는 자전거와 유사한 형국이 되어있다. 대덕연구단지는 2000년대에 범위를 넓혀 대덕특구로 관리체제를 개선했지만, 과학기술도시로서는 여전히 초보단계인 기반형성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왜 그럴까?
그 첫째 이유는 대기업이나 주도기업이 없기 때문이다. 대덕특구지역에 입주한 연구소들은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 지역의 중소기업에게 이전하기보다는 다른 지역 대기업들에게 주로 기술을 이전한다.
그러므로 생산되는 기술을 이전받을 수 있는 대기업이나 주도기업의 유치가 필수적이다. 대기업의 유치는 많은 협력회사나 하청기업의 유입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지역 벤처창업기업의 판매처와 구매처가 돼 벤처기업의 생존율을 높이고 타 지역으로의 이전을 막아준다.
지금의 대덕테크노밸리는 원래 대기업이나 주도기업을 유치하려고 조성한 부지였으나, 땅값 차이로 모 대기업을 청주로 밀어버린 그때의 실수가 과학기술도시로서 가장 중요한 도약단계 진입 기회를 잃어버리는 계기가 됐다.
두 번째 이유는 외국 연구소나 외국 기업이 없다는 것이다.
성공적인 과학기술도시에서는 적어도 입주기관의 약 10~15% 이상은 외국 기업이나 외국 연구소가 입주해 있고, 이들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해외 정보를 습득·교환하거나 자연스럽게 해외 직거래 능력을 갖추면서 경쟁력을 가진다. 그러나 대덕특구에는 외국 기업이나 외국 연구소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대전은 여전히 과학기술도시 발전의 초기 단계인 기반형성단계에 머물고 있다. 대전이 과학기술도시로 도약했거나 성장했다면 도시의 산업구조는 첨단산업 위주가 됐을 것이고, 과학기술도시는 시민들의 생업과 크게 관련을 맺게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시민들의 일상생활이나 생업과는 여전히 큰 관련성을 맺지 못하고 명목상의 과학기술도시로 표류하고 있는 것이다./강병수 충남대 교학부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