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
중국 고사를 보면 부모 사랑과 관련하여 표현할 때 대표적으로 드는 동물이 소와 원숭이이다. 박학하고 재치가 넘치던 양수(楊修)가 조조(曹操)에게 죽임을 당했다. 그의 아비 양표가 자꾸 야위어 가자 조조는 왜 야위었느냐고 물었다. 양표는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아 주는 사랑[老牛?犢之愛]을 아직도 가지고 있어서 그렇다고 대답했다. 진(晉)이 촉(蜀)을 칠 때 삼협(三峽)을 지나는데 병사가 새끼 원숭이 한 마리를 잡아왔다. 어미 원숭이가 슬피 울며 백 여리를 따라왔다. 배가 정박을 하자 어미 원숭이는 뛰어올라왔으나 지쳐 죽었다. 병사들이 원숭이의 배를 갈라보니 창자가 끊어져 있었다. 환온은 새끼를 풀어주고 원숭이를 잡았던 병사를 쫓아버렸다. 지독(?犢)과 단장(斷腸)은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용어가 되었다.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은 사람과 동물이 같다. 다만 사람의 자식 사랑은 분별이 있다. 자식에게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예의범절, 인간관계, 전문지식, 문제해결능력 등을 가르치기 위해 엄함과 자애를 병용한다. 그래서 한없이 자식을 사랑하지만 자식이 잘못된 행동을 하거나 노력하지 않으면 부모는 엄히 자식을 훈계하기도 하고 때로는 매로 다스리기도 했다. 나도 어려서 공부하기 싫어하고 말썽을 피우고 다녀서 아버지에게 꾸지람은 물론 매도 맞았다. 지금도 뇌리에는 아버지가 매우 엄하고 무서운 분으로 남아있다.
어느 날 아버지와 대화를 나누다가 뜻밖의 말씀을 들었다. 아버지께서 우리 오남매를 무서워하셨다는 말씀이다. 나는 무슨 말씀이냐고 여쭈었다. 아버지는 자식들의 눈이 무서웠다고 하셨다. 당신이 잘못된 행동을 하거나 말을 함부로 하면 자식이 보고 영향을 받을까 두려워서 무척 조심하신 것이다.
나는 예전에 사춘기가 된 딸하고 자주 부딪쳤다. 감정이 격해진 딸이 도대체 아빠가 해준 것이 뭐냐고 따지고 들었다. 해준 것이 뭐냐고. 나는 화가 나서 네가 먹는 밥은 어디서 나왔으며 네가 입는 옷은 누구 돈으로 산거냐고 일일이 따져주었다. 그러면서도 마음속으로는 참 치사하다고 느꼈다. 딸이 원하는 것은 관심을 가져달라는 의미인데 말이다. 그 뜻을 알면서도 감정을 조절하지 못한 나는 그렇게 말했다. 그 감정의 골을 메우는데 3년이 걸렸다. 부모는 감정을 잘 조절하여 참고 냉정하게 판별한 다음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자식을 보듬어 줘야 함을 배웠다.
자식은 부모의 관심과 사랑을 먹고 자란다. 그래서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다. 자식을 낳으면 누구나 부모가 되지만 부모역할을 제대로 하기는 매우 힘들다. 자식에게 관심과 사랑을 베푸는 방식은 각자 사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옆에서 묵묵히 지켜만 봐야할 때도 있고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엄한 훈계를 해야 할 때도 있다. 부모가 자식의 성장과정과 감정 상태를 잘 파악하여 현명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의 사랑에 대한 신뢰가 쌓이면 자식이 일시적으로 일탈하더라도 반드시 제자리로 돌아온다.
요즘 아동을 학대하는 부모 이야기가 종종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다. 부모가 자식을 구타하여 상해를 입히거나 심지어는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도 있었다. 이런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부모로서의 책임감과 사랑을 가지고 진정으로 자식을 대하고 있는지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소중한 가족을 잃지 않으려면 내가 먼저 가족 구성원에게 좀 더 양보하고 소통하며 정성과 관심을 쏟는 길 밖에 없다.
이향배 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