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정 시인 |
대흥동을 떠나 삼성동에 집을 구하고, 공사를 시작한 지 54일 만에 윤곽이 잡혔다. 공간을 만들어 가는 동안 이런저런 이야기들이 줄을 이었다. 사람을 위해 만들어지는 공간인데 일을 하다 사람을 의심하는 일이 일어났다. 그런 날이면 어김없이 몸이 아프고 마음이 상했다. 가장 힘들었던 점은 사람을 바라보는 시선이었다. 시선이 초점을 잃을 때마다 내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길을 찾을 수 없었다. 후회가 밀려들어 54일 전으로 돌아갔으면 하는 마음이 불쑥불쑥 일어났다.
1층 북 카페와 독립서점, 2층 갤러리 그리고 공연장으로 쓸 수 있는 옥상. 생각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공간이다. 그 공간에 사람의 마음을 채우는 일이 쉽지만은 않으리라고 생각했지만 일당을 주고 부른 손을 자꾸 의심했다. 날일(일당)로 불렀으니 날일을 하는 건 당연한 모습인데 말이다.
하루 일을 끝내고 혼자 남아 뒷정리를 하다 보면 동네 사람들이 다가와 위로와 걱정으로, 지친 마음을 풀어줬다. 이런 동네(인쇄소)에서 카페와 서점 그리고 갤러리를 하면 사람들이 오겠냐는 걱정부터 혼자 일을 하는 것이 안쓰럽다며 커피며, 참외며, 빵을 건네며 위로하고, 공사 중 나오는 소음도 기꺼이 참아줬다.
일하다가 손과 마음을 의심하고 그 의심으로 내가 이 공간을 만드는 이유조차 의심하게 되는 일을 반복적으로 겪다 보니 동네 사람들에게는 내 모습이 지쳐 보였을 것이다. 하지만 빌린 손과 마음이 모두 힘들게만 한 것은 아니다. 어떤 손은 내 마음을 어루만져주고 어떤 손은 자신이 가진 솜씨를 주어진 시간에 기꺼이 발휘하는 일도 보여줬다.
공사가 거의 마무리된 공간을 보며 지난 시간의 내 모습이 투영됐다.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일희일비(一喜一悲)했다. 빌린 손이 열심히 하면 기분이 좋고 대충 시간이나 때우려고 하면 화가 났다. 문화복합공간을 만들어 사람들이 쉬게 하겠다면서 일하는 사람 손을 의심하고 있었다. 사람을 의심하는 내 마음을 들키지 않으려고 노력하다 하루가 저물었다.
이번에 만들고 있는 공간은 2년 뒤에 실행에 옮길 생각이었다. 한국작가회의 사무총장에 나가 서울 생활을 2년 하고 대전으로 돌아와 문화복합공간을 만들어 동네 사랑방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뜻대로 되지 않아 계획을 2년 앞당겨 설익은 감자가 되지는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서울에 문화 예술촌이 몰려 있어 좀 더 보고 느끼고 동네에 맞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었다. 사람들이 문화를 통해 일상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치유하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 가정의 울타리를 지켜낼 수 있는 몸과 마음이 되길 바랐던 것이다.
4년 전, 갤러리를 하겠다고 선언을 하고 몇 달 공사 끝에 문을 열었다. 좋은 작가들을 초대해 내가 먼저 호사를 누렸다. ‘미룸 갤러리’라는 간판을 달던 날 아직도 기억이 생생하다. 작은 가정집을 고쳐 사람이 사는 집에서 그림이 사는 집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 행복, 여러 작가와 시민들이 동참해 주어 갤러리 문을 닫지 않고 오늘까지 올 수 있었다.
5월에 시작한 공사가 이제 끝이 보이니까 생각과 다른 부분들이 눈에 들어온다. 아직 문을 열지 않았으니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시작할 때 마음과 끝이 보일 때의 마음이 같을 수는 없겠지만, 첫 마음을 잊지 않기 위해 갤러리 간판에 새겨놓아야겠다.
그 마음을 가지고 남은 공사 잘 마무리해서 비록 공간은 작지만, 마음을 담아낼 수 있는 문화복합공간이 되기를 욕심내 본다. /김희정 시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