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보다 한 가지 더 알고 있다고 더 많이 아는 것은 아니다. 반면, 자신이 알고 있다고 세상 사람 모두가 알고 있는 것도 아니다. 다른 사람이 모른다고 본인이 잘난 것은 더욱 아니다. 각기 관심사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함에도 그를 근거로 남을 무시하거나 경멸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학식의 높낮이와 관계가 없다.
산길을 안내하는 사람은 한없이 친절하다.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다 내줄 듯 환대한다. 따지지 않고 상대를 존중한다. 미지의 세계는 남겨두고 있는 그대로 서로를 인정하는 것이다. 목적지 물으면 안내와 함께, 아직 멀었는데 '다 왔어요', '조금 남았습니다'도 곁들인다. 속이는 것이 아니라, 격려가 담긴 것이다. 진솔해지면 절로 덕담이 오간다. 서로 돕고 배려한다.
식장산(食藏山)은 596.7m로 대전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계곡도 길고 깊다. 산기슭에 신라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고산사를 비롯하여 개심사와 구절사란 사찰이 있다. 역사 또한 깊다는 이야기다. 고산사는 산내, 개심사는 판암동, 구절사는 옥천 방향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식장산 이름의 유래부터 많은 전설도 산재해 있다.
대전은 삼국시대 백제와 신라의 접경지역이요 전략적 요충지였다. 산재해 있는 41개 산성 유적(2012년 조사)이 그를 대변해 준다. 식장산은 신라 공격에 대비 군량미를 비축해 두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식기가 숨겨져 있기 때문이란 설도 있다. 구전되는 이야기는 그 특성상 가감이 많다. 두어 가지 전설의 줄거리만 보자.
은어송이란 젊은이가 늙은 홀어머니 모시고 웃터새말(지금의 가오동 부근)에 살았다 한다. 나무해서 연명한 모양이다. 산 중턱에 절이 있고 법흥이란 중이 있었다. 절도 몹시 구차하여, 은어송은 나무하러 갈 때마다 준비해 간 도시락을 법흥과 나누어 먹었다. 고맙게 생각한 법흥이 보은으로 당대발복 명당 터를 잡아주어 부친 묘를 이장케 한다. 그날부터 좋은 일이 일어나 황소가 들어오는가 하면, 억울한 누명을 쓰고 도망쳐 온 한성 대감집 규수를 맞이하여 결혼도 한다. 규수가 가지고 온 금은보화로 새집과 전답을 마련, 풍족하게 생활하며, 글도 배워 고을 군수까지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식기에 얽힌 전설은 이렇다. 효성이 지극한 부부가 연로한 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철없는 어린 아들이 어머니 밥을 먹어버리자, 아들을 없애기로 결심, 생매장하기 위해 업고 산속으로 들어갔다. 땅을 파다 보니 밥그릇이 나왔다. 기이하게 여겨 그냥 돌아와 늦은 밤까지 고심하며 담배를 피웠다. 가져온 밥그릇에 담뱃재를 털었는데, 이튿날 아침에 보니 재가 그릇에 수북했단다. 이상히 여겨 쌀을 한 줌 넣어두고 나갔다 왔더니, 쌀이 그릇에 그득하였다 한다. 밤에는 엽전 한 닢 넣어두고 자고 일어났더니 엽전이 가득했단다. 진기한 그릇 덕에 온 가족이 풍족하고 행복하게 살았는데,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그 밥그릇을 다시 이 산에 묻어두었다 한다.
권선징악이나 삼강오륜에 얽힌 전형적인 이야기다. 삼강오륜은 유교 도덕의 기본이며 핵심가치다. 조선이 통치이념으로 삼으면서 봉건사회 유지와 사회질서 확립에 기여한 바가 크다. 오늘날에도 우리 의식 속에 잔존하며 많은 영향을 미친다.
1428년 김화라는 사람이 아버지를 살해하는 사건이 일어나자 세종은 크게 탄식하며 '삼강행실도' 제작을 명하였다. 삼강오륜의 교화에 힘썼던 것이다. 기존에 편찬된 '효행록'을 중심으로 중국과 우리나라에 전하는 충·효·열 사례를 모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을 곁들였다. 오늘날 윤리 책인 셈이다. 지속적인 중간과 개역(改譯)작업을 거치며 이해가 쉽도록 언해본도 제작한다. 가감이 많아 제각각이다. '이륜행실도'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둘을 합쳐 '오륜행실도'가 제작되기도 한다.
효를 위해 자해를 한다거나 자식을 희생시키는 일, 국가가 아닌 군에 대한 충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여기거나, 열을 지켜내기 위해 목숨을 마구 버리는 등 오늘날 사회통념에 부적합하거나 불가능한 사례가 많다. 또한, 수직적 상하관계에 천착되어 있거나 여필종부(女必從夫)와 같이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당시에도 비판이 많아, 중간 과정에 지나친 내용을 다수 제외하기도 한다. 특히 여성 입장에서 불편부당하게 생각하였던 점이 많았던 듯하다. 17세기 한문 소설인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15명의 여성 원혼이 등장한다. 하나같이 충절 없고 무능력한 남자를 탓하며, 정조와 정절이라는 이름 아래 자신이 억울하게 죽었음을 호소한다. 열다섯 번째 여인이 '전쟁 중에 절의 있는 충신은 하나도 없고, 늠름하고 당당한 정절은 오직 여인들만이 보여 주었다'고 개탄하는 내용과 같다.
삼강오륜, 상호종중으로 이해하면 오늘날에도 퍽 유효하다. 외진 산길에서 만나는 사람 대하듯 서로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면 따뜻한 사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