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혜 천안북중학교 교사 |
주제선택 국어 시간의 제목은 "국어? 하고 싶은 거 다 해"였기 때문에 아이들의 원성은 더욱 컸다. "하고 싶은 거 다 하라면서요. 저희는 시 쓰기 싫단 말이에요", "시는 어떻게 쓰는 거예요?" 미안하지만 아이들의 원망에서 힌트가 떠올랐다.
"얘들아, 시 쓰기 싫으니? 그럼 '시 쓰기 싫다'라는 주제로 시를 써 보자."
어차피 답은 정해져 있었다. 아이들은 정말로 시를 쓰기 싫어했지만, 시는 써야 했고, 6주 동안 시 쓰기 프로그램을 강행했다. 아이들에게 시 쓰기가 어렵지 않다는 걸, 시 쓰기가 생각보다 '노잼'이 아니라는 걸 알려주고 싶었다.
다른 학교 학생들이 쓴 문집을 보여주며 너희가 이러한 책의 작가가 될 거라는 점을 강조하고, 학생들이 쓴 시를 읽어주며 시 쓰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그리고 내가 썼던 오글거리는 사랑시도 공개했다.
아이들은 사랑 이야기를 항상 경멸하는 듯, 야유하는 듯, 하면서도 사실은 가장 큰 관심을 보인다. 어쩌면 흑역사일지도 모를 선생님의 짝사랑, 그리고 그 짝사랑의 마음을 담은 시를 보면서 아이들의 마음이 움직였다. 그때부터 우리들의 6주간의 대장정이 시작됐다. 사랑, 친구, 우정, 학교생활의 어려움, 강아지, 중딩이 생각하는 인생에 대한 고찰….
이 와중에 어떤 아이는 정말로 '시 쓰기 싫다'라는 주제로 시를 썼다.
'나는 시를 쓰는 게 세상에서 제일 싫다. 그렇지만 수행평가 0점을 맞을 수는 없으니/시인지 모를 글씨를 적어본다.'
현실적이다. 하지만 글솜씨가 범상치 않다. 계속 읽어본다.
'지금은 투정 부리는 애처럼 싫다고 하지만/이걸 보며 웃을 날이 오면 좋겠다.'
물론 시 쓰기는 싫었을 것이다. 선생님의 강요에 못 이겨, 수행평가 0점을 맞기 싫어서 억지로 시를 썼을 것이다. 하지만 '이걸 보며 웃을 날이 오면 좋겠다'라고 생각한 아이가 있다. 한 마디면 충분했다. 이 문장은 너무도 인상 깊어서 이 시집의 제목이 됐다. 그리고 120페이지 분량의 우리 시집을 관통하는 하나의 주제가 됐다.
시 쓰기를 싫어했던 아이는, 자신의 마지막 문구가 시집의 제목이 된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로 인해 아이가 작가로서의 자부심을 느꼈기를, 단 1%라도 시를 좋아하게 됐기를 기대해 본다. 그 아이는 아마 알고 있을 것이다. 자신의 문구가 한 권의 시집의 제목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자신의 작은 영향력이 120명의 시를 대표하는 큰 영향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2020년. 코로나라는 무서운 질병이 대한민국을 바꾸어 놓았다. 온라인으로 개학을 하고 아이들은 일정을 나누어서 등교 중이다. 그런 와중에도 우리의 시 쓰기는 계속되고 있다. 사랑에 대하여, 소중한 것들에 대하여, 중딩이 생각하는 인생에 대하여….
아이들은 여전히 시 쓰기를 싫어하고 있다. 하지만 언젠가 먼 훗날, 이걸 보며 웃을 날이 오면 좋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