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주 충남대 교수 |
이 팬데믹의 막막한 시간에, 나와 세상에 대한 지혜로운 조망을 찾고자 책을 뒤적거리다 슬라보예 지젝을 다시 만났다. 그가 2012년 한국을 방문했을 때 이미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 국민국가가 한계에 이르렀음을 간파했던 그의 예지를 떠올렸고, 2020년 지금 코로나시대에 그가 어떤 슬기로운 해법을 제시할 지 궁금했다.
먼저 그의 신속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중국이 처음 세계보건기구에 원인을 모르는 폐렴 케이스를 보고한 날이 2019년 12월31일이고, 이 폐렴이 팬데믹의 가능성이 있다고 과학자들이 보고한 날이 올해 1월24일이다. 그런데 지젝이 코로나 관련 책 <팬데믹! 코비드-19가 세상을 흔들다>를 쓴 것은 3월 24일이다. 놀라운 속도가 아닐 수 없다. 그때쯤 우리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언젠가는 깨어날 악몽이라고 막연한 희망을 품고 있을 때였다. 그런데 이 예지로운 철학자는 이 팬데믹이 깨어날 악몽이 아님을 간파하고 있었던 것이다.
깨어날 악몽이 아니라면 어쩌란 말인가. 지젝은 철학자답게 "철학 혁명"을 제안한다. 먼저 바이러스를 달리 보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바이러스를 외부에서 온 침입자나 적으로 보았고 기필코 제거해야 할 존재로 보았다. 그러나 비록 자기복제 밖에 모르는 소위 저차원의 바이러스일지라도 그는 지구상에 늘 있어왔으니 침입자가 아니다. 그는 적도 아니다. 그는 그저 제몫의 삶을 살뿐 인간을 적대시하여 인간을 공격하는 것은 아니다. 사자가 사냥을 하듯 바이러스도 숙주를 찾을 뿐이다. "평평한 존재론"에 의하면 바이러스는 인간과 동등한 지구상의 엄연한 실재다.
다만, 엄연한 실재인 바이러스는 인간의 심리 안에서 "현실로 재통합될 수 없는 잉여물"이다. 그래서 잉여는 끊임없이 현실을 괴롭히면서 증상을 만들어내는 존재다. 그럴 때 해법은 간단하다. 실재를 현실의 일부로 받아들여 감당할만한 것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이다. 베트남 전쟁 참전 용사 중, 실제로 부상을 당한 병사와 부상을 당하지 않은 병사 중 누가 더 극심한 트라우마를 겪을까? 부상당하지 않은 사람이 더욱 심각한 트라우마를 겪는다고 한다. 부상(실재)에 대한 '공포'가 더욱 심각한 트라우마를 유발하는 것이다. 지젝의 말대로 우리는 "늘 위협에 시달리는 대신 취약한 삶을 수용하고 사는 법을 배워야 한다."
더불어 그는 몇 가지 "야만"을 나열하고 경계한다. 바이러스의 위협을 자칫 전체주의적 감시의 계기로 삼는 야만을 경계한다. 그런가하면, 적극적 통치를 섣불리 자유의 제약으로 비판하는 자유주의적 야만도 경계한다. 경제를 앞세워 집단면역을 기다리며 노약자를 희생하고 계급차별을 심화시키는 자본주의적 야만도 경계한다. 야만의 아슬아슬한 유혹과 함정을 피하면서, 새로운 길을 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길로써 지젝은 리우데자네이루 갱단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들은 빈민가를 장악하기 위해서 잔인한 패싸움을 일삼던 자들이다. 그런데 그들은 바이러스가 창궐한 기간에는 서로 휴전하고 노약자들을 돕는데 힘을 모으기로 합의했다. 평소 같으면 도저히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새롭고도 신기한 일이다. 이스라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는 팔레스타인 당국에 긴급 원조를 제공하고 협조를 요청했다. 이 역시 좀처럼 일어나기 힘든 일이다. 그들이 감염되면 나도 감염된다. 지젝의 표현대로 우리는 모두 같은 배를 타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지젝은 '초국가적 협조와 연대'라는 새로운 길을 제안한다. 지금으로서는 지젝의 제안이 최선으로 보인다.
김명주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