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출입 초반에도 이런 이야기를 들었지만, 요즘 같이 다가온 적은 처음이다. 지난해 9월부터 행정을 출입하기 시작했으니, 제대로 된 인사를 본 게 처음이기도 했다.
최근 대전시청 1층에는 누군가의 승진을 축하하는 난이 빼곡히 채워져 있었고, 엘리베이터나 복도에선 서로의 인사를 축하하는 일이 잦았다. 이에 조직개편과 부서이동, 승진 축하 등으로 인해 대전시와 5개 자치구 모두 북적북적했다.
왜 이렇게 다들 승진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을까.
인터넷에서 '공공기관을 퇴사한 이유'라는 제목의 글을 본 적이 있다. 회사원에게 보상은 '금전', '승진', '칭찬'으로 3가지로 나눠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공공기관은 성과를 내는 곳이 아니기에 금전적 보상은 제외된다.
그러면 다음 항목인 승진으로 관심이 가게 되는데, 승진이 업무 성과와 비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게다가 최소한 말이라도 인정받기 어렵다고도 호소했다. 잘하는 사람보다 '못하는 사람'에게 더 집중하는 분위기라는 것이다.
결국 3가지 중 하나인 칭찬도 보상으로 적절하게 주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잘하는 사람은 계속 힘든 부서에 가서 일을 하고, 못하는 사람은 계속 편한 부서에 가서 편한 일을 한다고도 한다.
결국 공직사회에서 업무에 대한 보상은 '승진' 밖에 없다는 이야기가 맞는 셈이다.
이런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마음이 마냥 좋진 않았다.
실제로 일부 공무원들은 승진을 하지 못했거나, 원하는 부서로 발령받지 못했다는 이유로 매너리즘에 빠져 있기도 했다.
게다가 승진에 대한 보상을 적절하게 받을 수 없다면 '편하게 일할 수 있는 곳'을 선호한다는 문장도 크게 공감이 갔다.
이는 대전시 전입시험 비율을 보면 알 수 있다.
자치구 소속 6급 공무원 중, 일부 직렬은 대전시 전입 시험 응시 인원 자체가 없기도 했으며, 행정 6급 직렬도 인원이 미달 됐다.
이를 놓고 한 공무원은 "시로 가도 큰 장점이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6급이면 자치구에선 팀장이지만, 시로 갔을 땐 실무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 이상 시로 간다고 해서 승진이 빨라진다는 장점이 없다고도 덧붙였다.
아쉬운 이야기다. 지난해 2월 대전시는 일하는 공직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인사혁신담당관'을 조직개편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말 '일하는 공직 사회' 분위기가 만들어졌는지, 또한 적절한 인사 결과가 주어지고 있는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김소희 행정산업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