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채 한국폴리텍대학 대전캠퍼스 교수·공학박사·금형제작기능장 |
수없이 들었던 것처럼 1차 산업혁명은 기계화의 대표 증기기관이고, 2차 산업혁명은 대량생산 체제를 가능하게 한 전기가 기반이 되었고, 3차 산업혁명은 지식정보 시대의 컴퓨터 기반의 발전을 하면서 인공지능, 빅데이타,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이 등장 하였다.
직업의 변화를 보면 1차 산업혁명시기에는 가내수공업이 방직기 운용으로 변화하면서 가내수공업자들이 공장 근로를 하였고, 2차 산업혁명시기에는 수동으로 처리한 대부분의 일이 자동화로 변화가 시작된 시기이고, 3차 산업혁명시기에는 인터넷 기술발달로 정보기반의 서비스업이 활성화 되었으며, 4차 산업혁명은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을 연결하는 인간의 영역이 기계에 대체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미래 사회 변화를 인지는 하고 있지만 나에게는 어떠한 영향으로 다가올 것인가를 한번 쯤 깊이 생각을 해 보며 현재의 나 그리고 현재의 자녀 세대는 어떻게 준비하며 미래 직업은 어떤 변화로 다가올 것인가?
현재 하고 있는 일이 단순 반복적인 일인가? 아닌가? 한번쯤 생각하여 고부가가치화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 생각하여 시대의 흐름에 맞게 업데이트 하여야 할 것이다.
공급자 중심으로 일을 하고 있다면 수요자 중심으로 옮겨지면서 보다 전문적으로 세분화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공유경제가 발전을 거듭하면서 연결이란 단어와 융합이란 단어가 많이 등장하면서 융합형 직업이 증가하고 있다. 디자이너의 경우는 인간의 심리적 지식과 스마트기술을 접목하여 디자인을 하고, 요즘 TV에서 인기가 있는 프로그램처럼 요리사와 농부가 결합하여 신선하고 건강한 음식을 공급하고, 공연이나 전시도 과거와 달리 콘텐츠 기획에 인문학적 소양과 홀로그램기술이 접목되어 기획이 되고 있다.
불과 10년 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직업군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첨단과학기술윤리학자, 공유자산가치전문가, 스마트교통시스템설계엔지니어, 우주여행가이드, 아바타개발자, 인공장기제조전문가 등 직업의 등장이 현실화 되고 있다.
미래에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요역량에 초점을 맞출 것인가? 지금의 사라질 직업에 초점을 맞출 것인가? 생각해 볼 대목으로 미래에 사라질 직업에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지는 않는지 또 자녀에게 강요하고 있지는 않는지 한번쯤 생각해 보아야 하겠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빅데이타를 활용한 문제해결 일들은 컴퓨터 등 기계로 대체되고 인간은 창의적이고 획일적이지 않는 일, 다양한 융합적 가치가 있는 일, 인간과 기계가 공생하면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일 등과 같이 서로 협업하여 큰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역량 있는 일이 될 것으로 본다.
필자 또한 공학전공으로 2016년 당시 미래성장동력학과로 개편을 하면서 진보 하여 왔지만 미래에 사라질 직업을 학생들에게 지도하는 커리큘럼에 대해 다양성의 가치를 조합하는 대안이 필요할 것이며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거나 앞으로 직업을 가질 세대는 이러한 미래 직업 변화 트렌드와 역량에 시간 투자를 해야 할 것으로 본다. 공병채 한국폴리텍대학 대전캠퍼스 교수·공학박사·금형제작기능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