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석 행복청 차장 |
하버드대 경제학자인 에드워드 그레이저가 '도시를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이라 말하였듯이 도시로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혁신적인 발명과 발전이 가능해졌다.
반면에 도시는 높은 인구 밀집으로 전염병에 취약해져서 고대 그리스에서는 오염된 음식에서 발생한 전염병(장티푸스), 중세 유럽의 흑사병(페스트), 근대 이후에는 런던의 수인성 질병(콜레라) 등이 발생했다.
이에 도시계획은 질병의 탈출구를 마련하기 위해 변화해야만 했다.
기원전 5세기 최초의 도시계획가로 불리는 히포다무스가 감염병 대처와 인구분산을 위해 격자형 도시체계를 고안했고, 중세 이탈리아에서는 외부의 공격과 감염병으로부터 도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별 모양의 팔마노바(Palmanova)가 건설되었다.
또 근대에는 질병과 오염된 환경으로부터 분리된 공간 계획을 위해 용도지역 지구 제도, 상하수도 시스템 등의 도시계획 기법이 계속 발전해 선진적인 위생과 복지시스템을 갖춘 도시를 만들어왔다.
그러나 새로운 감염병인 코로나19는 해외 신진도시도 피할 수 없었고, 이에 기존과는 다른 도시 계획적 접근 방식이 필요하게 됐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비대면 활동의 보편화, 재택근무제·원격근무제 활성화, 온라인 쇼핑확대와 개인형 이동수단 증가 등 일상생활이 변화할 것이다. 세계적 명품도시를 추구하며 건설 중인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도시 계획적 요소를 적용하고 있다.
우선 도시구조 분야다. 행복도시는 전염병에 취약한 단일 공간의 밀집 단핵형 도시구조가 아닌, 주요기능을 6개 권역으로 배치한 분산 다핵형 도시구조다. 행복도시 개념에 부합하게 저층의 15개 동(棟)을 길게 연결한 정부세종청사는 코로나 확산 방지에 유용했다.
두 번째로 주거분야다.
행복도시는 도시 전체면적의 52%를 공원·녹지로 계획해 기존 도시보다 낮은 인구밀도(총밀도 68인/ha)를 가지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며 야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주거지 곳곳에 207개 공원(1인당 공원면적은 약 50㎡)을 배치했다. 또한, 직주근접 실현을 위한 용도혼합 계획, 원활한 공기를 흐름 고려한 바람길 건축물 배치도 추진하고 있다.
세 번째로 교통분야다.
행복도시는 세계적 수준의 자전거도로(459km)를 확보하고 있어 개인형 이동수단(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5-1 생활권 스마트시티 국가시범 도시에는 보행 중심의 차 없는 도시구조와 이를 대처하기 위한 개인용 이동수단, 자율주행 셔틀 등 다양한 혁신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발하고 적용할 계획이다.
네 번째로 활력 있는 지역 공동체 의식 형성이다.
행복도시에서 동사무소와 문화·복지시설이 복합화된 22개 복합커뮤니티가 생활 거점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복합커뮤니티는 지역 주민의 친목과 소통의 공간으로 공동체 의식 형성에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런 공동체 의식은 코로나를 극복할 힘이 되고 있다.
행복도시는 2030년까지 도시를 건설할 계획이 있으며, 아직 도시계획을 수립할 지역이 많이 남아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요구되는 새로운 도시구조, 도시계획기법·제도의 변화 등을 반영하여 행복도시가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도시가 되도록 할 계획이다. 행복도시는 코로나19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으며 진화는 계속될 것이다.
김용석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