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욱 대전대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교수 |
스트레스란 특정 환경요인으로 인해 개인이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의 한계를 벗어난 상태에서 느끼는 압박감, 긴장감, 좌절과 갈등, 두려움 또는 정서적인 문제 등을 말한다.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크게 구분하면 일과 관련된 직무상의 스트레스와 일상생활에서 겪는 일상의 스트레스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학교, 직장에서 겪는 직무스트레스는 도전적 스트레스와 방해적 스트레스로 구분할 수 있다. 도전적 스트레스는 업무의 숙련도가 증가하고 개인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스트레스로 업무성과를 높여주고 조직 활성화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물론, 장기적으로 도전적 스트레스가 너무 과하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방해적 스트레스는 개인이 성장하거나 개인에게 이득이 될 가능성을 방해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트레스로 직장을 옮기거나 구성원간의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도전적 스트레스와 방해적 스트레스는 직무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 사이버 공간에서도 그대로 존재하는 것이다.
사이버 폭력예방과 사이버 상의 방해적, 부정적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우리는 과연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국가, 정부는 사이버 폭력 관련 사전 예방 제도 및 사후 관리 제도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교육부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련부처는 사이버 폭력 예방 및 예절 관련 제도를 정비, 강화하면서 늘어나고 있는 피해 및 스트레스에 대한 사후관리 법제도 정비를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둘째, 회사, 기관, 학교 등의 조직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예절교육 강화, 예절문화 확산에 힘써야 할 것이다. 형식적인 면의 교육, 문화 확산이 아닌 실질적으로 네티즌들이 사이버 상에서 큰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네티즌 개인들은 사이버 공간에 있는 구성원들을 존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사이버 공간은 익명성뿐만 아니라 신속성, 개방성, 자율성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자율성이라는 것은 타인의 직접적인 통제나 간섭을 적게 받으면서 자율적으로 개인의사를 표출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자율성에는 사이버 공간상의 구성원들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네티즌들이 사이버 상에서 순간적으로 화를 참지 못하고 강하게 표현한 글 몇 마디가 돌이킬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지는 현실을 많이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이버 공간에서 대화를 할 때 역지사지의 마음을 갖고 신중하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예절이 필요하다.
이상의 언급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들에게 심리적인 공포를 자극하는 것은 코로나19 바이러스만이 아니다. 현대인들에게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스트레스'라는 바이러스가 마음을 감염시키고 때로는 가족의 붕괴를 초래하고 회사, 기관, 학교 등의 조직에 많은 손실을 가져다주기도 하고 지역사회, 국가의 손실로 이어지기도 한다.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스트레스는 심리적인 전염을 일으키기도 하고 '집단 스트레스'로 이어져서 많은 손해를 끼치기도 한다. 우리 모두 사이버 공간에서 예절을 지키면서 서로간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의 행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밝은 측면의 비대면 시대를 즐기기를 희망한다. 서영욱 대전대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