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2019년 근대건축물과 현대건축물 가치를 파악을 위한 기초 조사에 나섰다. 이응노미술관은 현대건축물로 포함됐다. |
대전의 역사를 기록하고 고유의 유산을 가꿔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빠르게 바뀌는 개발에 앞서, 기록으로 대전의 과거와 역사를 기록해 후대에 물려주는 등의 문화적 가치를 높여야 하는데, 과거에 대한 기록은 사실상 부족하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최근 도시재생의 일환으로 근대건축물과 현대건축물의 가치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에 나섰다. 2019년 건축자산 화보집을 발간했는데 이와 맞물려 대전에서 오래되거나 역사가 깊은 가치 있는 건물의 기본 자료를 수집했다.
이 자료를 살펴보면 한옥 건축물 59개, 비한옥 건축물 69개, 공관 환경 11곳, 기반시설 9곳 등에 대한 가치 파악에 나섰다. 대표적으로 보존과 개발 사이에 머물러 있는 동구 소제동 철도관사촌 등 옛 건물은 물론, 이응노 미술관 등 현대 건축물 등도 다수 포함됐다.
다만 과거 건축물에 관한 기록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기록을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대전 건축물 기록 부재와 관련해 아카이브가 시급하다는 목소리다. 이를 위해서는 주요 건축물의 도면 등에 대한 공공 가치 확립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송복섭 한밭대 건축학과 교수는 "상당 부분 건축물이 사유재산이기 때문에 모양이나 도면 확보 등에 대한 접근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며 "그간 공공에서 기부해 보존하겠다는 공식적 요청이 없었던 만큼, 과거에 개인적으로 설계했던 분들이 도면을 가지고 기부 운동 등을 해도 좋은 방안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기존 건물을 토대로 도면을 만들어내는 방법도 있다. 송 교수는 "과거의 도면이 없다고 해서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도면이 없다면 현재의 상태를 다시 그려 도면을 만드는 방법도 나올 수 있다"며 "공익적 목표를 위해서 다양한 차원의 추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일제시대 당시 지어진 건축물인 소제동 철도관사촌 모습. 사진=이강산 작가 |
대전시 초대 총괄건축가로 위촉된 이성관 건축가는 "기존 건물을 보존해나갈 가치가 있다는 가치 판단이 중요하다"며 "평가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고 건물이 선정된다면, 자료들에 대한 기록화와 분류가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과거에 대한 기록화가 부족한 만큼, 앞으로의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서라도 대전기록원 설립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을 기록하기 위한 취지로 조례를 추가적으로 제정하고 건축자산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건축자산 지정을 위한 추진이 본격화되면 전문가 의견 수렴하고 예산을 통해 유지관리 하면서 기록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