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인 한밭대 산학협력단장, 링크+단장, 혁신클러스터학회장 |
첫째, 기업가정신을 기반으로 한 리더십이다. 대학에서 리더십은 교원과 행정가로부터 비롯된다. 리더십은 하향식과 상향식으로도 나타나며 캠퍼스 전체의 창업교육에 영향을 준다. 이들 리더십은 산업계가 자연스럽게 참여토록 하는 문화를 만든다. 대학 리더는 비전과 문화를 만들고 교수 챔피언이 창업교육을 효과적으로 하도록 지원해준다. 산업계 리더는 기업 챔피언으로서의 깊은 몰입을 통해 창업활동의 초석을 만든다. 기업은 대학이 몰입하도록 제안을 통해 대학과 정부의 참여를 이끌어 준다. 지자체 리더들도 '정책 챔피언'으로서 세금과 규제 관련 이슈를 통해 경제 발전을 이끈다. 이 같은 리더들은 새로운 분야의 기회를 찾아 조직을 만들고 자원을 투입하기도 한다.
둘째, 학생 중심이다. 학생은 4차 산업혁명시대 기업가정신의 핵심자산으로, 대학은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을 개발해 적합한 수준에서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기업가정신 교과과정에는 교과목, 커리큘럼, 전공, 부전공, 자격증 등고, 비교과 활동으로 경진대회, 기업방문, 동아리 등이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감을 확보해 경력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산업계는 기업가정신 개발에 협력하여 대학생들의 기업방문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현장실습이 활성화되면 학생들은 실전 문제를 경험하고, 이론 중심의 교실학습과 실제 기업활동간 격차를 좁히게 된다. 정부도 지역 내 기관이나 기업들과 협력해 현장실습을 확대하며 기업가정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형 아이코어 프로그램 외에 여성, 학교 밖 청소년 등에 대한 정책도 필요하다.
셋째, 교원 챔피언 양성이다. 교원들의 창업교육 참여가 저조한 것은 관심 부족, 시간 제약, 전통적 평가 기준에 기인한다. 따라서 적절한 시간과 연구년제 등을 제공하고, 평가체계 또한 기업가정신 친화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교원을 위한 과목개발과 교원 창업 펀딩도 필요하다. 산업계도 과목개발에 참여하고 멘토 역할을 하며, 회사 프로젝트에 참여기회와 '교원 인턴십' 제공도 필요하다. 특히 지역 내 기업 이름을 딴 '기업가정신 교수 타이틀'(professorships in entrepreneurship: PIE)도 부여한다면 활성화에 도움 될 것이다. 지자체의 기업가정신 연구지원과 펀딩, 산학관 기업가정신센터의 지원도 필요하다.
넷째, 지역사회의 몰입이다. 지역사회는 대학과 함께 경진대회, 강의 등의 프로그램을 공동개발하고, 병원처럼 기업가정신 클리닉(e-clinic)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산업계는 후원자 역할을 수행하고, 기술과 비즈니스 전문가들의 회합을 통해 대학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지자체도 교수, 학생, 기업가들이 만나는 공간을 제공하고, 공동투자펀드 설립 뿐만 아니라 기업들을 유치해 지역 내 안착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집권화와 분권화된 구조 설계이다. 조직구조는 기업가정신 교육이 지속 가능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기 때문에 대학마다 다양한 기업가정신 관련 프로그램들을 중앙에서 지원,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업가정신 관련 기관 및 프로그램들 간 상호연계성을 확보해 대학과 산업계 간의 협력을 유도해야 한다. 산업계는 여러 학과들에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을 후원하고, 지자체도 대학이 지역경제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토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이상 기업가정신 리더십, 학생 중심, 교원 챔피언, 지역사회 몰입, 조직구조화 등 5가지 요인이 산학관의 끈끈한 협력, 즉 트리플 헬릭스(Triple Helix)를 통해 구현되어 대학캠퍼스 혁신이 가속화되길 소망해본다.
최종인 한밭대 산학협력단장, 링크+단장, 혁신클러스터학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