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무리 제공 |
김기남 외 12명 지음│심정명 옮김│갈무리
2018년 10월 프로젝트 그룹 <난민×현장>이 만들어진 건 그해 6월 제주도에 도착한 예멘 난민 500여명으로 시작된 '집단난민'의 경험 때문이다. 당시 예멘 난민 수용 반대 청원에는 국민 71만명이 참여했고, 한국 사회가 원래 지니고 있었던 소수자에 대한 혐오는 난민을 향해가기 시작했다.
여성에 대한 혐오가 있던 자리를 난민이, 성소수자가 대체해 가는 상황 속에서 '상호교차성'에 대한 논의가 부상했지만, 반면에 소수자와 소수자를 대립시키는 포퓰리즘도 확산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프로젝트 그룹 <난민×현장>은 난민운동과 여성, 장애, 동물, 성소수자, 병역거부 등 다른 소수자 운동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책 『난민, 난민화되는 삶』은 그들이 모여 만들어낸 압축적 기록이다.
책에 담긴 난민 인권활동가가 겪는 어려움, 민족국가 바깥의 위안부 할머니들, 난민화된 병역거부(기피)자, 성소수자 난민, 항상적 난민 상태의 동물들, 전체가 드러날 수 없는 난민의 이미지 등은 그 각각의 상태들이 서로를 비추며 연결되고 사유의 그물이 된다. 활동가와 연구자, 난민과 난민화되는 삶의 간극에서 부딪쳤던, 사유·활동·마주침의 한계-접점은 각각의 몸이 놓인 자리를 인식하게 함으로써, 그 자리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용기와 힘으로 이어진다.
책은 철학적 차원에서 난민과 난민화되는 삶의 고통을 듣고 표현하는 공통장이 가능할지 질문하고, 역사적 차원에선 과거와 현재의 난민을 연결지어 다른 성소수자성과의 한계-접점을 찾는다. 사회이론의 측면에서는 인종주의에 대한 접근으로, 난민을 인종화하는 혐오발언, 민중봉기가 일어난 아시아 지역에서의 소수민족에 대한 학살 등을 조명한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