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내가 쏟은 하얀 피, 하얀 눈물 한데 모여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내가 쏟은 하얀 피, 하얀 눈물 한데 모여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 승인 2020-06-08 09:51
  • 신문게재 2020-06-09 19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찔레꽃을 보면 왠지 짠한 마음이 듭니다.

전설에 따르면 원나라로 공출된 찔레라는 처녀가 10년만에 고향을 찾아와 병들고 늙은 아버지와 동생의 이름을 부르며 온 산천을 찾아 헤맸지만 결국 찾지 못하고 고향 근처에서 죽고 말았답니다. 그때 찾아 헤매던 골짜기 산 개울마다 찔레의 넋은 흰꽃으로 피어났고 그 목소리와 착한 눈물은 향기가 되었다지요. 그래서인지 보릿고개를 넘어야 했던 어린시절의 추억이 실루엣으로 남아 그 찔레꽃을 보다가 요즘 핫이슈가 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가 오버랩 되는 것은 왜일까요. 울컥하는 안스런 생각에 문득 이해인 수녀의 「찔레꽃」이란 시가 떠올랐습니다.

아프다 아프다 하고/ 아무리 외쳐도// 괜찮다 괜찮다 하며/ 마구 꺾으려는 손길 때문에// 나의 상처는 가시가 되었습니다// 오랜 세월 남모르게/ 내가 쏟은 하얀 피/ 하얀 눈물 한데 모여/ 향기가 되었다고// 사람은 원래 아픈 것이라고/ 당신이 내게 말하는 순간// 나의 삶은/ 누구와도 바꿀 수 없는 축복으로/ 다시 피어났습니다

그럴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는 기구하고도 절절한 사연이 어디 한둘이겠습니까. 미스터트롯이나 아침마당의 예능프로를 봐도 눈물샘을 자극하는데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몸과 마음이 만신창이가 된 할머니들의 피맺힌 절규를 보통사람으로 살아온 우리들이 다 헤아릴 수야 없지만 그렇다고 6월의 낙화로 강물에 흘려보낼 수는 없는 일이지요. 모두가 숨죽이며 내일이 아닌 것처럼 외면할수록 아픈 과거의 상처가 축복이 될리야 없지만 깊고 큰 상처의 향기는 오랫동안 남는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물론 시시비비를 차치(且置)하더라도 정부의 간섭 없이 자발적으로 조직된 비영리시민사회단체인 NGO의 개념이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1945년 UN헌장에 이 용어가 등장하면서부터입니다. 하긴 2차세계대전 이전에도 반노예협회, 국제적십자사, 아동구호기금 등 세계적으로 700여 개의 NGO가 이미 활동하였으며 우리나라도 독립협회, 신민회, 흥사단, 신간회가 있었지요. 그러나 본격적인 NGO가 출현한 것은 민주화 열기가 뜨거웠던 1987년 6월 항쟁 이후입니다. 경실련, 참여연대 등이 낙천 낙선 운동 촛불시위 등 정치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NGO활동을 주도해 왔습니다. 지금은 만여 개가 넘는 크고 작은 NGO단체가 있으며 우리 대전만 해도 500여개 단체에 회원수만도 15만명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대전시민 10명 중 1명이 비영리단체에서 공익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은 건전한 시민 활동의 튼튼한 뿌리가 정착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반증이라 하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국내 NGO들이 순수성을 잃어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영세하고 열악한 재정으로 자금 흐름이 불투명하고 조직운영이 폐쇄적이라는 우려와 함께 선거철이 되면 NGO의 중심축을 흔드는 정치권의 추파가 커다란 유혹이 되어 NGO와 은밀한 커넥션으로 지나치게 변질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염려스럽습니다. NGO는 본질적으로 비정부 비영리적 비정치적 비종교적 조직으로 사회의 구석진 곳을 비추는 빛과 소금의 역할이 태생적 출발이기 때문에 어떤 특정 집단 또는 개인의 정치적 목적이나 사익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해서는 안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NGO는 스스로 도덕적 중립과 투명성의 생명을 성찰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야 할 것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올바른 몸가짐을 하는 지신(持身)으로 예기(禮記)의 '구용(九容)'과 생각과 지혜를 수양하는 논어의 '구사(九思)'를 율곡선생께서는 격몽요결(擊蒙要訣)에 기록하였지요. 이 구용구사 중 눈은 마음의 깃발이고 눈높이와 마음의 높이는 같으니 눈을 단정히 두라는 목용단(目容端)과 옳지 못한 것을 가질 생각을 하지 말라는 견득사의(見得思義)의 정념실덕(正念實德)을 호국보훈의 달 6월에 새겨보는 것은 어떨런지요.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대 마음 상처는 나았을까… 연명치료 아이 결국 무연고 장례
  2. 원금보장·고수익에 현혹…대전서도 투자리딩 사기 피해 잇달아 '주의'
  3.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4.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
  5. 대통령실지역기자단, 홍철호 정무수석 ‘무례 발언’ 강력 비판
  1. 20년 새 달라진 교사들의 교직 인식… 스트레스 1위 '학생 위반행위, 학부모 항의·소란'
  2. [대전다문화] 헌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3. [사설] '출연연 정년 65세 연장법안' 처리돼야
  4. [대전다문화] 여러 나라의 전화 받을 때의 표현 알아보기
  5. [대전다문화] 달라서 좋아? 달라도 좋아!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충청권 행정구역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갖고 뜻을 모아왔으며,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공동 선언문을 통해 두 시·도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