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정 시인 |
대전을 문화예술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한 시장들을 여럿 보았다. 현 시장 역시 대전을 문화예술 도시로 만들겠다고 문화예술인들을 모아놓고 이야기를 했다. 이쯤 되면 대전이 문화예술 도시가 되고도 남아야 한다. 그런데 현실은 까마득하게 먼 곳에 있다.
대전 문학관을 보자. 문학관은 시민과 문학을 하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졌다. 지금 문학관이 어느 하나라도 만족시키고 있는지 돌아보자. 우선 문학관의 위치를 보면 시민들이 찾아갈 수 있는 공간이 아니다. 대전에 문학관이 있는지조차 모르는 시민들이 더 많다. 심지어는 문학을 하는 사람들조차 문학관을 이용하기 불편하다고 말한다.
대전문인협회와 대전작가회의가 대전문학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엄을 2019년 상반기, 하반기 두 번에 걸쳐 진행했다. 크게 화두는 두 가지였다. 하나는 문학관을 충남 도지사 관사촌 중 하나로 이전을 하고 현 문학관을 문학 창작센터(레지던시)로 이용하자는 거였다. 다른 하나는 문학관장을 상임으로 바꾸자는 것이다. 이런 이야기는 허태정 시장이 주최한 예술인과의 만남의 자리에서도 나온 이야기이다.
문화예술 도시를 말로 해서 만들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관과 시민, 그리고 예술인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노력을 해도 쉽지가 않다. 그런데 선거 때에만 문화예술도시 이야기가 나오고 문화예술인들의 이야기는 형식적으로 경청하는 퍼포먼스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이런 모습이 대전의 현실이라면 과장된 표현일까.
각설하고, 시장님께 건의한다. 문학관 이전을 위해 닻을 올려야 한다. 시민도 문학인들도 발길을 주지 않는 곳에 언제까지 방치해 둘 것인가. 다음으로 문학관장을 책임 있는 자리로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관장이 소신을 가지고 문학관을 운영할 수 있다. 시민들과 문학인들이 가지 않는 문학관, 무슨 의미가 있으며 그 책임을 누구에게도 물을 조차 없다.
10년 전부터 원도심 살리기에 이런저런 예산을 쓰고 있다. 쓴 세금은 지금 어떤 효과를 내고 있는가. 문화예술인들은 원도심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는가. 의문부호만 맴돈다. 진심으로 대전이 문화예술 도시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예를 하나 들어본다. 원도심에 있는 충남 도지사 관사촌에 대전문학관을 세우면 어떨까. 접근성은 기본적으로 따라올 것이고 문화예술의 중심이 돼 시민들이 찾아오는 횟수도 늘어날 것이다. 주변 문화시설과의 시너지 효과는 덤으로 얻을 수 있는 낙수효과다.
예술의 뿌리가 문학인데 문학관장은 명함만 있는 자리라는 것이 부끄럽다. 이런 자리에 앉아 명함을 돌리는 일 이외의 무엇을 더 바랄 수 있겠는가. 일을 할 수 있겠는가. 아니면 인사권을 통해 일할 수 있는 직원들을 확보할 수 있겠는가. 이러다 보니 책임을 지고 싶어도 질 수 없는 자리가 됐다.
내가 문학을 한다고 해서 문학관을 옮겨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것이 아니다. 문학관장 자리를 탐하려고 이런 말을 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대전을 문화예술 도시로 만들어 시민들의 삶의 가치가 올라가야 하지 않겠는가. 시민들이 아이들 손을 잡고 언제든지 찾고 문학인들을 만날 수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래야 시민들이 생각하는 문화예술도시에 대해 생각을 듣고 대전을 어떤 문화예술도시로 만들지 길을 찾을 수 있다.
책임이 없는 자리, 외딴 섬처럼 숨어 있는 문학관, 대전문학관만 보면 이런 생각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이런 생각을 할 때마다 자괴감이 일어난다. 그러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10년을 바라보는 대전문학관의 현실 앞에서 생각은 여지없이 무너진다. /김희정 시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